재정경제부는 최근 ‘기업의 대외진출 촉진 및 해외투자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이 글로벌 시대에 걸맞은 투자 풍토의 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제화 초기에는 상품 무역거래에 의존하다가 국제화가 진전되면서 여행ㆍ유학 등 서비스 거래가 확대되고 보다 선진화되면서 자본이동 중심의 직접투자나 간접투자로 교역의 범위가 넓어져가는 것이 자연스런 추세이다.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의 활성화는 국가 경제 전체 차원에서 볼 때 단순히 개인투자자의 재테크 기회를 넓히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이웃 일본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저금리 시대에 국내에 마땅한 투자 대상을 찾기 쉽지 않았던 일본 투자자들은 전세계로 눈을 돌려 지난 90년대 이후 해외 채권ㆍ주식 등에 대한 포트폴리오 투자를 크게 늘렸다. 그 결과 일본 투자자들은 국내에서보다 높은 수익을 향유해 국내 경제 부진에 따른 소득 감소의 상당 부분을 보완할 수 있었다.
한편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를 통한 외화유출 확대는 일본과 대만의 외환시장 안정에 상당한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3년간 일본과 대만의 통화가치는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그것이다.
이러한 해외투자의 긍정적인 면을 고려할 때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는 더욱 확대돼야 하며 정부도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해외투자가 특정 지역, 특정 상품에 편중될 경우 해당 시장의 가격 변동에 따라 투자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달걀은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투자 격언이 있듯이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 역시 다양한 지역의 다양한 투자상품에 분산투자하는 것이 현명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투자지역 측면에서 중국ㆍ인도 등 신흥국 시장에 대한 편중 현상이 심하다. 채권투자의 경우 일본과 마찬가지로 선진국에 대부분 투자하고 있으나 주식투자는 신흥국 투자 비중이 60% 이상으로 매우 높다. 정부는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의 ‘쏠림 현상’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융감독 당국과 협조해 투자자금의 흐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자산운용협회 등을 통해 자율적으로 시장 위험에 대한 투자자 교육ㆍ홍보를 강화해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