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황우석 '줄기세포조작' 논란] 그동안 지원금은 얼마나

정부 예산·민간 1,000억 달해<br>영롱이 탄생하며 가능성 인정 매년 거액투입<br>지자체기업들도 연구센터 건립등 전폭 지원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이 1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에서“정부는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의 줄기세포 진위 논란과 관련해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서울대 조사결과에 따라 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줄기세포가 허위라는 노성일 미즈메디병원 이사장의 폭로를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가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섬에 따라 줄기세포 연구의 진위논란이 미궁으로 빠져들며 황 교수에 대한 지원사업도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됐다. 그동안 황 교수팀에 제공된 연구개발 지원금액은 정부 예산 600억여원, 민간 300억~400억원에 달한다. 무려 1,000억원에 이르는 돈이 “누구 말이 옳으냐”에 달려 있는 상황이다. ◇그간 어디에, 얼마나 지원됐나=황 교수팀에 대한 천문학적인 규모의 재정지원은 지난 99년 복제소 ‘영롱이’가 탄생하면서부터 시작됐다. 황 교수 연구의 가능성을 엿본 과학기술부ㆍ보건복지부 등이 자체예산 중 R&D지원 분야에서 매년 수억여원을 투입한 것. 이후 황 교수의 연구가 인간 줄기세포 분야에서 빛을 발하자 정부도 ‘올인’ 지원을 선언했다. 지난해 들어 일명 ‘황우석연구동’으로 불리는 서울대 의생명공학연구동에 20억원이 투입된 데 이어 줄기세포 연구비 15억원, 무균돼지 돈사 30억원 등 총 65억원의 재정이 지원됐다. 올 들어서도 정부는 황우석연구동 설립 100억원을 비롯한 총 245억원의 예산을 집행했다. 단일 연구팀 지원규모로는 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수준이다. 내년 예산도 만만치 않다. 국회에 제출된 예산안이 통과될 경우 제1호 최고과학자로 선정된 황 교수는 5년간 매년 30억원씩 150억원을 받게 된다. 세계줄기세포허브연구소 건립에 따른 예산 115억원(연구비 40억원, 운영비 75억원)도 있다. 이밖에 황 교수에게 주어진 국가요인 지정 신변보호, 연구원 병역혜택 등의 특혜도 만만치 않다. 지방자치단체와 민간기업들도 황 교수를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왔다. 올들어 경기도는 무려 295억원을 투입, 수원 광교테크노밸리 내에 '황우석바이오장기연구센터'를 세우기로 하고 지난 8일 착공식을 갖기도 했다. 충남도 홍성군은 황우석공원 조성을 약속했고 농협중앙회는 10억원을 축산발전연구 후원기금으로 전달했다. 대한항공도 황 교수에게 앞으로 10년간 국내외 전노선의 최상위 클래스 좌석을 배정하겠다고 밝혔다. 난자기증을 약속한 1,000여명의 여성들도 있다 ◇앞으로 어떻게 될까=이 같은 민관의 지원이 지속될지 여부는 결국 황 교수 연구성과의 진위 여부와 과학자로서의 신뢰성에 달렸다. 만일 황 교수의 연구가 허위로 판명된다면 정부는 뚜렷한 검증도 없이 천문학적 규모의 예산을 낭비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된다. 황 교수에게 각종 편의제공 등을 약속한 민간기관들 역시 허위연구에 이용됐다는 자괴감과 함께 기업 이미지 실추 등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하지만 황 교수의 연구가 여전히 높은 가능성을 가졌다는 점이 확인된다면 황 교수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당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정부 재정지원의 경우 현재 내년 예산안이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계류돼 있는 만큼 의원들의 합의가 있다면 관련예산이 크게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스타급 과학자 한명에게만 R&D 예산이 몰렸다는 비판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예결위는 예산안 감액과 관련해 정부 동의 없이 시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 아직 소속의원들의 중론은 “좀 더 지켜보자”는 것이지만 사태 추이에 따라 감액폭이 결정될 수 있다. 민간기업들 역시 사태 추이에 따라 각종 지원사항 철회를 선언할 수 있다. 그러나 철회에 따른 기업의 위신 손상도 우려되는 만큼 아직은 섣불리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