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통ㆍ서구ㆍ이상향의 금강산 풍경들

김규진 '해금강'등 1900~1960년대 대가들 그림·사진 한자리에<br>'그리운 금강산'展 덕수궁 미술관

전통ㆍ서구ㆍ이상향의 금강산 풍경들 김규진 '해금강'등 1900~1960년대 대가들 그림·사진 한자리에'그리운 금강산'展 덕수궁 미술관 20세기에 들어서부터 금강산은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지로 외국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우리 화가들의 전통적인 진경문화는 이 시기에 유입된 관광이라는 문화현상과 서구적 풍경화 개념의 도입으로 새로운 변화를 겪게 된다. 황성하의 ‘금강산 10폭 병풍'과 김우하의 '삼선암'은 전통적인 관념산수의 공간표현에서 벗어나 서구적 공간표현 방식을 시도한 작품들로 주목 받고 있다. 반면에 김규진의 ‘해금강총석정절경’과 ‘금강산만물초승경’은 순종의 응접실로 쓰이던 창덕궁 희정당에 전통적인 궁정벽화 양식으로 그려진 작품들로, 금강산의 전통적 구현 방식을 수용하면서도 직접 사생을 통해 파악한 사실적 풍경을 토대로 금강산의 사실감과 신비감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관장 김윤수)은 10월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서울 총회개최를 기념해 190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 금강산을 소재로 한 작품들을 한데 모은 ‘그리운 금강산’전을 18일부터 10월24일까지 서울 덕수궁미술관 제1, 2 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안중식을 필두로 한 대가들의 금강산 그림 45점과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나왔던 금강산 관련 작품들의 사진, 이미지, 그 시기에 제작된 금강산 관련 자료들이 출품된다. 이번 전시에서 만나는 금강산 작품들은 전통적인 산수화로 혹은 서구적 풍경화의 대상으로, 아니면 마음 속 이상향을 구현하기 위한 심상의 풍경 등을 그린 작품들로 근대기 대가들의 그림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전시로 관심을 모은다. 일제에 의해 금강산 관광이 시작된 이후 최대 관광객을 동원한 1930년대 후반에는 금강산을 소재로 한 화첩이나 병풍 형식의 작품들도 등장한다. 몇몇 서양화가들은 금강산을 풍경화의 소재로 다루기 시작했다. 임용련의 ‘만물상 절부암’은 기법면에서 유화물감을 마치 동양의 수묵담채화와 같은 느낌이 들도록 사용했다. 또 이번 전시에는 선전에 출품된 금강산 관련 작품들이 사진으로 소개된다. 나혜석의 ‘금강산 만물상’은 금강산이 지닌 전통적 관념에서 벗어나 풍경으로서의 금강산을 작품화하고 있다. 해방 이후 분단으로 서양화에서는 금강산을 소재로 한 작품을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됐지만 한국화의 경우는 실제 대상을 볼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금강산은 여전히 좋은 소재로 작용했다. 노수현의 ‘관폭’, 박생광의 ‘보덕굴’, 변관식의 ‘단발령’ ‘옥류청풍’ 같은 작품들은 분단 이후 제작된 금강산도가 실제 경치에 근거하기보다는 마음 속 이상향으로 그려져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조각가 김종영이 겸재의 금강산도를 모방한 ‘금강산도’에서는 우리의 의식 속에 흐르는 전통의 면면을 살필 수 있다. (02)779-5310. 박연우기자 ywpark@sed.co.kr 입력시간 : 2004-08-15 21:1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