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백기사 역할' 무게 속 汎현대家 M&A 가능성도

'백기사 역할' 무게 속 汎현대家 M&A 가능성도


'백기사 역할' 무게 속 汎현대家 M&A 가능성도 현대重, 현대상선 지분 26% 취득현대중공업·KCC 지분 합칠 땐 33% 달해 최형욱 기자 choihuk@sed.co.kr 관련기사 • 정몽구 회장 구속영장 청구 • 재계 "선처 호소 불구… 안타깝다" • 시민·사회단체 "경제적 비용 고려했어야…" • 검찰 "화이트칼라 범죄 용서 못한다" 의지 • 언론 "정회장 구속? 불구속?" 밤새 수읽기 • 흔들리는 현대車 누가 움직이나 • 경영 공백…해외 사업 '급브레이크' • 검찰, 비자금 용처·로비 대상자 규명 주력 • 채동욱 "고심 끝에 결정 내렸다" • 현대車 "설마설마 했는데…" 망연자실 • [사설] 법원에 맡겨진 현대차 비리 처벌 • 두번째 영장 '글로벌 톱5' 야망 꺾이나 • 정회장 사전구속영장 "한국車 역주행" • 영장실질심사 법리공방 뜨거울듯 • 檢 칼날 로비수사로…정·관계 후폭풍 클듯 • 정의선 사장 경영권 승계 '시계제로' • 현대車 "1조 사회공헌은 약속대로 진행" • 네티즌 60% "경제 고려 정회장 선처해야" • 현대重, 백기사? 또 다른 적대적 M&A? • 정회장 구속에 현대車 주가 3% 떨어져 • [사설] 현대차 정회장 꼭 구속해야 하나 • '2회 영장' 정몽구·정태수 회장 닮은꼴 • 은행권 "현대·기아차 신용도 조정계획 없어" • 정치권 "정회장 영장청구 안타까운 일" '백기사인가 아니면 또 다른 적대적 인수합병(M&A)인가.' 현대중공업이 27일 밝힌 현대상선 지분매입 배경은 일단 전자(前者)다. 외국인투자가에 의한 적대적 M&A 가능성을 차단해 안정적으로 선박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는 것. 하지만 현대그룹 측 반응은 다르다. 현대그룹 측은 이날 공식 성명을 통해 "현대중공업그룹이 아무런 사전협의 없이 현대상선의 외국인 지분 26.68%를 매입해 매우 당혹스럽다"고 반박했다. 시장 일각에서도 지난 2003년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과 경영권 분쟁을 벌였던 KCC 지분과 현대중공업 지분을 합칠 경우 지분율이 33%에 달해 상황에 따라서는 범(汎)현대가에 의한 M&A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란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일단 백기사 등장에 무게=현대중공업과 현대상선은 이번 지분 취득 목적이 단순 투자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의 한 관계자는 "골라LNG 등으로부터 지분을 매입하기 이전에 현대상선과 사전 협의를 거쳤다"며 "단순 투자 목적"이라고 말했다. 현대상선 관계자 역시 "현대상선은 현대중공업으로부터 모든 선박 물량을 발주하고 있다"며 "사업 연관성이 커 우호적인 목적의 투자일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현대상선은 현재까지 현대중공업으로부터 125척의 선박을 인도해간 최대 고객이다. 현대상선 역시 현대중공업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선박을 확보, 해운시장 활황기에 대비하는 등 두터운 협력관계를 형성해왔다. 특히 현대중공업은 이번 지분 투자로 외국인에 의한 적대적 M&A 가능성을 차단하고 안정적인 경영환경을 조성, 사업능력 확대와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그룹도 캐시카우인 현대상선의 지배권을 확고히 함으로써 현대건설 인수전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됐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해외자본의 적대적 M&A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우호지분 참여"라며 "현대상선은 선단 확대를 더 적극 추진하고 현대중공업은 일본 조선업체에 비해 취약한 내수 비중을 확대할 수 있는 상호 윈윈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적대적 M&A 가능성 상존=하지만 현대중공업ㆍKCC 등 범현대가가 현대그룹에 경영권 장악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는 정몽헌 현대아산 이사회 회장 사망 이후 현대그룹이 다른 성씨 일가로 넘어가는 데 대해 범현대가의 정서적 거부감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현 회장의 장녀인 정지이씨가 막내 외아들인 영선씨를 제치고 경영수업을 차근차근 밟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KCC는 지난 2003년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상선 지분을 대량으로 취득, 경영권 분쟁을 벌인 바 있다. 더구나 KCC는 현대중공업 지분 8.15%도 보유하고 있어 연대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 범현대가가 공격할 경우 수성을 장담하기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현재 현대엘리베이터 등 특수관계인의 현대상선 지분율은 23.53%다. 반면 현대중공업과 KCC는 각각 26.68%, 6.26% 등 총 32.94%로 9.41%포인트 앞지른다. 현 회장 측은 전략적 투자가인 케이프포츈천(지분율 7.0%), 스타뱅거펀드(7.44%), 채권단 관리기업인 현대건설(8.69%) 등을 우호지분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경영권 분쟁이 본격화할 경우 누구 손을 들어줄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현 회장은 '지주회사인 현대엘리베이터-현대상선-각 계열사'로 이어지는 지분 구조를 통해 전체 계열사를 지배하고 있다. 실질적인 지주 회사인 현대상선의 경영권을 장악하면 그룹 전체의 경영권도 넘어갈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현대증권은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다. '경영참가' 목적으로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25.5%를 보유 중인 쉰들러홀딩AG와 연대할 경우 현대엘리베이터도 사정권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입력시간 : 2006/04/27 18:0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