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삼성차 처리/핵심쟁점들] 지역정서 돌출

◇지역정서 돌출= 삼성자동차는 태생 때부터 부산지역 특유의 정서를 발판삼았던 기업이다.삼성은 지난 90년대 초반부터 승용차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문을 두드렸으나 실패를 거듭하자, 『부산에 공장을 지어 지역경제 회복에 일조하겠다』는 모토를 내걸면서 정치권에 호소, 마침내 YS정권중반기인 94년말 숙원을 풀었다. 그러나 당시 삼성자동차 허용의 출발점이던 부산지역 정서가 이번엔 삼성자동차 퇴출에 결정적인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30일 『삼성자동차는 법정관리를 거쳐 청산될 것』(이헌재 금감위원장)이라고 발표했으나 부산 시민과 협력업체들의 반발이 잇따르자 『공장은 그대로 가동될 것』(김대중 대통령)이라고 번복했다. 그럼에도 반발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부산시민들은 지난 7일 대규모 정부 규탄집회를 갖고 삼성자동차 정상가동을 요구했다. 이날 행사에는 「삼성차 탄생의 주역」인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도 메시지를 보내 시민들의 행동을 지지했다. 『삼성차 법정관리는 곧 부산경제 죽이기』라는게 부산시민들의 주장. 『호남정권이 영남기업만 골라 문을 닫고 있다』는 극단적 발언까지 나오고 있다. 이같은 지역정서는 『법정관리를 통해 삼성자동차를 가동하면서 정상화시키겠다』는 삼성에게도 호재로 작용, 삼성의 「버티기 전략」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삼성자동차가 부산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이고, 경제성이 있다면 부산 경제인과 시민들이 투자조합을 결성해 직접 인수해보라』고 말했다. /한상복 기자 SBHAN@SED.CO.KR

관련기사



한상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