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원화 환율이 급등락을 거듭하며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원화 환율 상승은 물가 불안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원화 환율 급등으로 중소기업의 키코(KIKO)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달러 유동성 부족으로 금융위기 재연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어 원화 환율의 변동이 국민들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가 되고 있다. 환율이란 우리나라 돈인 원화와 외국 돈을 바꿀 때 적용되는 교환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외국통화 1단위를 받기 위해 지급해야 하는 우리나라 돈으로 표현된다. 우리나라는 현재 자유변동환율제도(1997년 12월16일 도입)를 채택하고 있는데 원화의 대미 달러 환율은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자유로이 결정된다. 그러나 일본 엔화, 영국 파운드화 등 미 달러화 이외의 기타 통화에 대한 우리나라 원화의 환율은 원화의 대미달러 환율을 국제금융시장에서 형성되는 기타 통화의 대미달러 환율로 재정해 간접적으로 결정되고 있다. 변동환율제도하에서 환율은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외환수급만으로 환율변동을 모두 설명하기는 충분하지 않다. 환율은 수급 이외의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변동하기 때문이다. 환율변동 요인은 경제의 펀더멘털과 관련이 있는 중ㆍ장기 요인과 시장의 기대감이나 국제금융시장 동향과 같은 단기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장기적으로 환율은 물가, 교역조건, 생산성 변화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중기적으로는 통화정책에 의해 결정되는 각국의 금리 차, 경상수지 흑자와 적자, 자본수지의 유출입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중ㆍ장기적 요인만으로는 매일 혹은 실시간의 환율변동을 설명하는 데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단기적으로 환율은 외환시장 참가자들의 기대나 각종 뉴스, 주변국의 환율변동 등에 의해 변동한다. 우리나라의 환율제도는 크게 다섯 번 바뀌었다. 해방 이후 고정환율제도 (1945년 10월~1964년 5월), 단일변동환율제도(1964년 5월 ~1980년 2월), 복수통화바스켓제도(1980년 2월~1990년 2월), 시장평균환율제도(1990년 3월~1997년 12월)를 거쳐 1997년 12월16일부터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즉, 우리나라의 환율제도는 고정환율제도에서 점점 일일 변동폭이 확대돼 종국에는 일일 환율 변동폭 제한을 완전히 철폐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이뤄졌다. 외환위기 이후 원ㆍ달러 환율의 변화 추이를 간략히 살펴보자. 1997년 말 외환위기 과정에서 한때 1,962원까지 상승했던 원ㆍ달러 환율은 2000년 9월4일 1,104원까지 하락했다가 미 달러화 강세의 영향 등으로 2001년 4월4일에는 다시 1,365원까지 상승했다. 이후에는 미 달러화가 약세로 돌아서 원ㆍ달러 환율은 다시 하락세를 보이며 2007년 10월 말에는 900원70전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이후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신용경색 등의 영향으로 반등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만 40% 이상 상승해 10월23일 장중 1,400원대를 돌파했다. 자본이동성이 자유로워지고 글로벌 금융시장 간 연관관계가 높아지면서 변동환율제도하에서 대외충격에 따른 환율의 변동성이 훨씬 커지고 있다. 이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로의 파급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환당국의 환율변동에 대한 미세조정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