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시간제 일자리 전일제 전환 기업 자율에 맡겨야"

방하남 장관 "강제하면 부담 커"


방하남(사진) 고용노동부 장관은 정부가 내년부터 대폭 확대할 계획인 시간선택제 일자리와 관련해 시간제와 전일제 일자리 간의 전환은 기업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밝혔다.

방 장관은 19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를 주제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시간제와 전일제 일자리의 전환은 자유로워야 하지만 당장 이를 법으로 강제하면 기업에 부담이 큰 만큼 기업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방 장관은 "시간선택제가 막 도입되는 단계에서 시간제와 전일제 간 전환을 폭넓게 인정하면 시간제로 일할 마음이 없으면서 시간제로 뽑힌 다음 전일제로 바꿔달라고 요구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성화 등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은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아이를 키우는 여성이 시간제 일자리로 바꾸면 줄어든 임금을 정부가 일정 부분 지원하는 제도가 있다. 하지만 이 제도는 육아휴직과 합쳐 최대 1년 쓸 수 있다는 규정 때문에 활성화가 더디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육아휴직과 별도로 근로시간 단축기간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방 장관은 시간선택제 확대가 청년 일자리를 빼앗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공공 부문은 청년의무고용제도가 있으며 민간 부문의 시간제 채용도 주로 경력단절 여성,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경력채용이기 때문에 청년의 취업 기회를 제한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고용부는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민간 확대를 위해 오는 26일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 박람회에 참여하는 10개 주요 그룹 82개 기업은 내년 상반기까지 시간선택제 근로자 1만명을 채용할 방침이다.

채용계획에 따르면 삼성그룹은 소프트웨어(SW) 제품개발과 통역ㆍ심리상담 등 다양한 분야에서 6,000명을 시간선택제로 뽑는다. 신세계그룹은 이마트ㆍ신세계백화점 등에서 주 20ㆍ25ㆍ30시간 등 근무시간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시간제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며 한진그룹은 대한항공에서 객실승무원 200명을 시간제로 뽑기로 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