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金부총리 “논술, 정식과목 채택”

내년 1학기부터 정규수업<br>EBS통해 ‘대학별 맞춤강좌’도 제공키로

김진표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논술, 정식 교과목 채택’ 발언에 따라 고교에서 논술교육이 어떻게 이뤄질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교육부는 일단 올해 2학기부터 고교 2ㆍ3학년에게 주2시간씩 편성돼 있는 ‘독서’나 ‘작문’ 과목을 논술지도에 적극 활용하는 동시에 이를 가르칠 교사들을 연수를 통해 양성할 계획이다. 방과 후 활동이나 자율학습시간도 논술지도를 위한 시간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유영국 교육부 학교정책심의관은 20일 “서울시교육청이 이번 여름방학에 논술지도 교사 210명을 연수시키기로 하는 등 시ㆍ도교육청별로 국어나 사회 교과의 희망교사들을 상대로 논술연수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교육부는 또 교육방송(EBS)을 통해 오는 9월부터 논술고사 가이드라인에 맞춘 전문 강사진의 ‘대학별 맞춤 논술강좌’를 제공, 학원에 가지 않고도 충분히 논술고사에 대비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교육부는 교사용 ‘논술지도자료’가 11월 말께 완성되면 내년 1학기부터 정식 교과목으로 편성, 정규 수업시간에 전문적인 교재를 활용한 논술지도가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2007년부터 학교생활기록부에 반영될 독서활동 기록카드와 마일리지제도 등도 적극 시행할 예정이다. 한편 김 부총리는 이날 “전세계적으로 논술을 입학의 결정적 전형자료로 쓰는 나라는 아무데도 없다”고 비판하고 “평준화정책은 30년간 국민적 합의에 따라 시행된 것으로 누구도 이를 해체하고 과거로 돌아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3불 정책에 대해서도 ▦기여입학제는 헌법에 ‘균등한 교육기회’ 규정이 명시돼 있고 ▦고교등급제는 불이익을 당한 학생들이 각 대학에 소송을 벌일 수 있고 ▦본고사는 이미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금지하는 조항이 있어 굳이 법제화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