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현장 클릭] 상계 뉴타운

주민 의견 엇갈려 개발 진통<br>"사업성 떨어져 용적률등 상향해야" 주장에<br>일부 추진위 "결정 늦추면 집값 폭락" 맞서<br>노원구, 이달 재촉지구 신청… "더 미루면 해제될수도"

낙후된 다세대주택이 밀집해 있는 상계3동 일대 전경. 개발이 절실한 지역이지만 주민들 간의 분열로 뉴타운 개발에 차질을 빚고 있다.


서울 도심 광화문에서 지하철로 40여분 이동하면 4호선 종점 당고개역을 끼고 있는 상계3ㆍ4동 일대 ‘상계 뉴타운’에 다다른다. 역을 나서면 동쪽으로 불암산과 서쪽으로 수락산이 펼쳐지는 수려한 자연경관이 눈에 띈다. 그러나 역세권임에도 불구, 생활여건은 서울의 1980년대를 연상하게 한다. 이제 도심에서는 찾기 힘든 낡은 천막사ㆍ공업사가 보이고 낙후된 다세대주택이 구릉지를 중심으로 빼곡히 들어서 있다. 지난 1980년대 철거민들의 집단이주 정착지인 이곳은 지난해 10월 ‘상계 재정비촉진지구 재정비계획(안)’ 주민 공람공고 이후 아직까지 여론이 양분돼 심각한 ‘뉴타운 진통’을 앓고 있다. 당고개역 인근 K중개업소의 한 관계자는 “노원구가 이달 중에 서울시에 재정비촉진지구 결정신청을 할 계획인 것으로 알고 있지만 계획안에 반대하는 주민 여론이 만만치 않아 파장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뉴타운 개발이 일사천리로 진행되지 못하는 이유는 이 지역이 갖고 있는 태생적인 한계 때문이다. 서울시와 노원구의 ‘상계 재정비촉진지구 재정비계획(안)’에 따르면 상계 뉴타운은 6개 촉진지역과 7개 존치관리구역으로 나눠져 있으며 오는 2016년까지 모두 8,948가구가 들어선다. 그러나 비탈진 땅이 많고 쪼갠 지분이 많은 이곳은 현 가구 수와 뉴타운 설립 이후 가구 수가 큰 차이가 없어 일반분양이 적고 조합원 물량도 다른 뉴타운에 비해 소형 평형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주민들은 ‘뉴타운의 사업성이 너무 떨어진다’며 노원구청과 서울시를 압박하고 있다. 이 지역 주민대책협의회 측은 “재정비촉진지구 결정고시가 늦어지더라도 용적률 상향 조정, 기반시설용지 축소 및 공원용지 이전, 중형 아파트 건립 추가 등의 내용을 계획안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맞서는 연합추진위원회 측은 “결정고시를 늦출 경우 집값이 다시 원점으로 폭락하고 피해가 주민들에게 돌아온다”고 반발하고 있다. 현재 이 지역에는 이 같은 추진위만 10여개가 난립해 있는 상황. 노원구는 재정비촉진지구 결정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노원구청의 한 관계자는 “용도지역을 이미 1∼2단계 올렸으며 용적률도 평균 230%까지 끌어올려 더 이상 중대형을 늘리기는 불가능하다”며 “신청을 늦출 경우에는 1년 후 아예 재정비촉진지구가 해제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 이 지역 재개발 지분 값은 각 구역별로 차이가 뚜렷하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어 거래가 뜸한 편이다. 현지 부동산중개업소에 따르면 노원 중심지와 가깝고 일반분양, 중대형 물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5ㆍ6구역은 33㎡ 다세대주택의 3.3㎡당 가격이 3,500만원선까지 올랐다. 그러나 뉴타운 평균 분양면적이 85㎡에 못 미치는 2ㆍ3구역의 경우 3.3㎡ 당 2,000만원선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상계3동의 H중개업소 사장은 “사업성이 떨어지는 일부 구역에서는 지분 값이 조금 오른 김에 아예 팔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려는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