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황교수 "사이언스지 표지논문 확정"

"하늘 도움 없이는 이번 연구성과 불가능했을 것"<br>"내년 후반기 국민이 중간박수를 보낼 수 있을 것"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는 7일 오전 8시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관훈토론회'에 참석, "난치병환자의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한 연구성과가 오는 17일 발간되는 사이언스(Science)지의 표지논문으로 게재가 확정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토론회 기조연설을 통해 "현재 사이언스지 표지에 게재될 디자인을모두 완료해 제출했다"면서 "우리 연구팀이 이뤄낸 비슷한 연구성과로 사이언스나네이처, 셀 등의 저명 과학저널에 표지를 장식한 것은 근래에 유래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는 외신기자만 30여명이 참석하는 등 80여명의 국내외 기자들이몰려 열띤 취재경쟁을 벌였다. 황 교수는 토론회 시작 30분 전에 행사장에 도착, 참석자들과 함께 아침을 함께 한 뒤 시종일관 여유있는 모습으로 질문에 답했다. 황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제가 실험을 총괄 지휘했지만 하늘의 도움이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외국의 침탈과 동족상잔 등의 온갖 어려움을겪었으니 이제 하늘에서도 세계에서 어깨를 쪽 펴고 살아보라는 천운을 준 것으로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번 연구성과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우리 연구원들이 콜라 빨아먹던기술을 이용해 피펫(빨대 모양의 실험도구)으로 2초만에 핵을 제거했다"면서 "이런기술이 있었기 때문에 성과를 올릴 수 있었고 전세계에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특허를제출한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이와 함께 "지난 5월 20일 영국에서 연구성과를 발표할 당시 영국의 연구팀이 8세포기 단계의 복제배아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이미 우리 연구팀이 3년 전에 이뤄낸 성과"라며 "하지만 영국의 신문들은 자국의 연구성과를 1면 기사로다루고 우리 연구성과는 3-4면에 배치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영국 언론의 이 같은 모습을 보고 많은 것을 느끼고 배웠다"면서 "앞으로연구팀이 국익과 인류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가를 가슴속에 심는 계기가됐다"고 소감을 피력했다. 그는 현재 줄기세포 연구 분야의 세계적 수준에 대해서는 "마라톤에 비유했을때 실용분화세포가 25km 지점, 치료과정 표준화가 30km 지점, 그 직후 재연성과 메커니즘 등이 뒤따라 결승선에 이를 것"이라며 "지난해 줄기세포 첫 배양은 20km지점"이라고 설명했다. 황 교수는 이어 "현재의 연구수준은 연극 4막 중 2막에 해당한다"면서 "내년 후반기쯤 2막이 시작되면 국민들이 중간박수를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