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8.31대책에도 아파트 시가총액 100조 늘어

정부의 강력한 8.31 부동산대책에도 불구하고전국 아파트 시가총액은 연초보다 100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정보제공업체인 부동산뱅크는 지난 16일 현재 전국 아파트(523만6천155가구)의 시가총액을 조사한 결과 1천27조9천519억원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올해 1월 시가총액인 929조2천645억원에 비해 98조6천875억원 증가한 것이며, 지난 15일 기준 증권거래소 상장주식 시가총액(631조5천882억300만원)의 1.6배에 이르는 수치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15조1천789억원으로 전국 아파트 시가총액의 40%를 차지했다. 서울의 조사대상 아파트는 106만3천41가구로 전국 아파트의 20%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강남구(75조6천14억원), 서초구(47조1천759억원), 송파구(44조8천883억원) 등 강남권은 재건축 개발이익환수제와 종합부동산세.양도세 중과 등 8.31대책의 집중 포화를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시가총액이 8조7천억-13조3천억원 이상 상승했다. 신도시에서는 분당의 시가총액이 49조3천686억원으로 연초 대비 10조8천817억원올랐다. 반면 일산은 19조8천184억원으로 2조8천499억원 오르는데 그쳐 `판교 열풍'이 분당 아파트값을 끌어올리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중동의 시가총액은 9조8천429억원으로 오히려 연초(9조9천66억원)보다 637억원이 감소해 분당 등 다른 신도시와 대조를 이뤘다. 경기도의 전체 시가총액은 226조9천268억원으로 연초보다 20조2천60억원 뛰었다. 하지만 의정부(-2천475억원).평택(-941억원).구리(-689억원) 등 7개 시는 연초보다하락했다. 부동산뱅크 양해근 실장은 "올해 시가총액이 많이 오른 것은 연초부터 재건축과대형평형의 상승폭이 컸고, 8.31대책 발표후 떨어졌던 집값이 입법화 지연 등으로일부는 다시 회복한 때문"이며 "8.31대책이 위력을 발휘한다면 내년에는 하락세로돌아설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