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서로가 새 천년에 걸맞는 정치적 이미지를 선점하려는 분위기가 강해 회담성사 여부가 불투명하다.여권은 한나라당에 「여야 총재회담을 통한 정쟁종식 공동선언을 하자」고 제의한 반면 한나라당은 「털 것은 털자」며 서로 분위기만 뛰우는 형국을 보이기 때문이다.
결국 여야 모두 새 천년을 맞는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총재회담 협상에 대한 제스처만 쓰고 있는 셈이다. 가급적 여야 서로간의 조건이 맞아 총재회담을 하면 좋겠지만 이견차가 너무 큰 만큼 국민의 비난을 잠재우기위한 형식적인 제의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적지않다.
여야가 23일 오전 국회에서 3역회담을 갖고 국회 정상화 방안 등을 논의했으나 한나라당의 문건국조 즉각실시 요구에 대해 여당이 불가 입장을 고수, 논란을 벌인 것은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선거구제 협상도 걸림돌로 작용되고 있다. 이날 3당3역회의에서 여당측은 복합선거구와 소선거구제의 크로스보팅(자유투표)을 공식 제안했으나 한나라당은 「헌정사상 유례없는 정략적 발상」이라며 거부, 한계점을 재확인했다.
따라서 총재회담은 분위기는 무르익어 가고 있으나 언론문건 국조 실시 등 장애물이 많아 새 천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
실제 한광옥(韓光玉) 청와대비서실장도 22일 『선거법 등 현안이 해결된 뒤 영수회담 시기를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 야당주장에 한걸음 다가섰다. 하지만 총재회담의 연내 실현 불가를 간접적으로 암시한 것으로 볼 수있어 총재회담 성사여부는 여권의 태도에 달려있다.
특히 언론문건 문제에 대해 李총재의 한 핵심측근은 『꼭 국정조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에 상응하는 대통령의 해명이나 정책적인 가시적 조치도 포함될 수 있다』며 「요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했다.
국정조사가 수용되지 않더라도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상응하는 가시적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표명을 할 경우 총재회담에 응하겠다는 얘기인 것이다.
결국 『모든 것은 여권의 태도에 달려있다』는 李 총재의 주장에는 변화가 없으나 문건국조 문제와 관련해 신축적인 입장으로 돌아설 수도 있다고 시사한 대목은 주목할만하다.
지난 19일 여야 총재회담에 대해 김대중 대통령의 대선자금 직접 해명 등의 조건을 걸면서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것과는 상당히 진전된 셈이다. 이총재가 총재회담의 전제조건으로 내건 언론문건 국정조사 연내 실시도 기간이 1주일에서 3일만 하면 된다는 입장을 취하는 등 유연해졌다.
그러나 이에대한 여권의 태도가 완강해 성사여부는 불투명하다.
그래서 여야 내부에서는 다른 방법을 검토중이다. 선거법과 언론문건 국정조사 등 현안은 연초 협상에 패키지로 하고 총재회담은 일단 연말에 열자는 방안도 나오고 있으나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양정록기자JRYANG@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