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외계층 일반인 보다 모바일 활용비율 떨어져

한국 정보화 진흥원의 조사에 따르면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 농어민을 포함한 4대 소외계층의 디지털 정보 활용비율이 일반계층보다 월등히 낮은 것은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한국 정보화 진흥원은 작년 전국의 4대 소외계층과 일반인을 합쳐 총 1만7,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를 공개했다.


한국 정보화 진흥원의 ‘2012 신 디지털 격차 현황 분석 및 제언’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소외계층의 ‘정보생산 활동률’은 23.4%로 일반인(43.9%)보다 20.5% 포인트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외계층별 ‘정보생산 활동률’은 저소득층(39.3%), 장애인(25.3%), 농어민(22.7%), 장노년층(16.7%)의 순으로 집계됐다. 정보생산 활동률은 개인 지식, 동영상, 사진 같은 정보를 온라인 공간에 공유하는 활동의 비율을 말한다. 소외계층의 타인이 만든 정보를 온라인 공간에 게시하거나 공유하는 비율도 일반인의 54.9%수준으로 집계됐다. 최근 1년 동안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SNS서비스를 사용한 비율은 일반인(57.2%)의 절반 수준인 28.8%로 드러났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모임에 가입해 정기적으로 활동하는 비율도 소외계층은 14.4%로 나타났다. 인터넷에서 온라인 사회 참여율에서도 소외 계층은 일반계층과 차이를 보였다. 공공기관에 의견을 올리거나 여론조사, 온라인 기부 등의 활동 중 1개라도 참여해 본 적이 있다는 비율은 소외 계층이 14.4%로 일반인(27.5%)에 못 미쳤다.

관련기사



소외계층의 컴퓨터 기반 정보화 수준이 일반 국민의 74.0%를 수준인 것에 비해 모바일(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기반 정보화 수준은 27.8% 수준으로 조사됐다. 소외계층 같은 경우에는 일반계층보다 스마트폰을 적게 보유하고 정보의 검색·생산·공유 같은 용도로 활용하는 비율도 낮기 때문에 정보화 수준도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소외계층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21.7%로 전체국민 61.5%로 집계된 것에 비해 큰 대조를 보인다. 소외계층 중에서 스마트폰 보유율은 저소득층이 31.8%로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이용비 부담’이 전체 응답의 33.7%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이용 방법이나 효용성을 모른다’가 27.4%, ‘필요하지 않다’13.9%, ‘사용이 어렵다’ 13.5%의 순으로 대답이 이어졌다.

한국정보화 진흥원의 조사결과 소외계층의 상당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중 40.2%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