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PB들, 자기 자산은 어떻게 관리할까?

고객의 자산을 관리하는 은행 PB(프라이빗 뱅커)들은 정작 본인의 자산은 어떻게 관리할까. `재테크의 고수'들인 만큼 뭔가 특별한 비법이 있는 것은 아닐까. 20일 주요 시중은행의 PB들에게 자산관리법을 질문한 결과 돌아온 대답은 의외로 평범했다. 일반 샐러리맨들의 자산관리법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 주식투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보통 국내외 펀드 3~4개씩은 가입해 있었다. 펀드 가입 수가 많은 것은 자산운용 차원도 있지만 고객들에게 상품을 추천하기에 앞서 시험적으로 드는 성격도 강했다. PB들은 " `중 제 머리 못 깎는다'는 속담처럼 정작 자기 자산관리에는 별다른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다"면서 "또 많이 아는 만큼 리스크 부담도 커서 베팅도 잘 안 한다"고 말한다. 하나은행 김창수 재테크 팀장은 주식에 45%, 펀드 30%, 보험 및 저축성 예금에25% 가량 투자하는 방식으로 금융자산을 설계한다. 펀드는 동유럽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및 글로벌 주식형 펀드 2곳과 국내 중소형주 펀드, 성장형 펀드 2곳 등 총 4곳에 가입했다. 지난해 가입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17~18% 정도로 쏠쏠한 재미를 봤다. `보수적 투자가'임을 자처하는 김 팀장은 "주식투자는 자산을 불리기 위한 것이고, 저축은 절세목적으로 가입했다"면서 "나머지 여유자금은 여러 펀드에 분할해 장기간 찾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스포츠 스타인 박지성과 박찬호의 자산관리를 맡아 유명세를 타고 있는 박승안 우리은행 PB팀장은 적립식 펀드와 부동산.선박펀드 등 실물펀드, 비과세상품인 장기주택마련저축, 연금보험 등에 가입했다. 그는 확정형(예금) 상품 30%, 준확정형(실물펀드.ELS) 40%, 투자형(주식형펀드)30% 정도로 자산을 설계한다고 소개했다. 여유자금이 생길 때마다 신규 투자 대신 주택구입을 위해 받은 대출을 갚고 있으며 주식은 배당주에 투자한다. 박 팀장은 "보통 10% 정도의 기대수익률을 생각하고, 원금손실이 생기지 않도록하는 게 투자원칙"이라고 소개했다. 국민은행 압구정동 PB센터 백승화 팀장도 차이나펀드와 에너지 관련 펀드, 미래에셋 인디펜던스와 부자아빠펀드 등 국내외 펀드 4곳에 가입했다. 그는 "주택대출을갚는데 주력하느라 여유자금이 많지 않다"면서 "일반 샐러리맨들과 재테크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신한은행 서울PB센터의 최태희 재테크 팀장은 부동산 투자에 신경을 쓰는 편이다. 그는 지난 94년 직장주택조합에 참여해 서울 문정동의 모 아파트를 1억8천만원에 분양받은 뒤 2004년 4억6천만원에 팔아 다시 잠실주공1단지 아파트를 4억2천만원에 샀다. 현재 재건축 중인 이 아파트 33평형 시세는 8억5천만원 정도다. 최 팀장은 "평소 부동산 투자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샐러리맨들은 가장 먼저 집을 장만할 수 있도록 재테크 계획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금자산은 브릭스펀드와 인도,중국 펀드 등 주로 해외펀드와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