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계 신용위험도 3년만에 최고

올 1분기 전망치 22…전분기 비해 16P 급증

올 1ㆍ4분기 가계의 신용위험도가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은행들이 가계 주택자금을 줄여나갈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급준비율 인상, 총액한도대출 축소 등 통화당국의 돈줄 조이기도 효과를 발휘하고 있어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은 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8일 한국은행이 국내 16개 은행의 여신총괄담당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올해 1ㆍ4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22를 나타내 전분기의 6에 비해 16포인트나 급증했다. 이 같은 신용위험 지수는 지난 2004년 1ㆍ4분기의 29 이후 3년 만에 최고치다. 신용위험 전망지수가 플러스이면 신용위험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많음을 뜻하며, 지수가 마이너스이면 그 반대의 뜻이다. 이 같은 가계 신용위험 지수가 상승한 것은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가 주요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은행들도 대출금리를 인상하고 원리금상환능력(DTI)을 면밀히 심사하는 등 가계대출에 대해 신중한 입장으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됐다. 실제 국내 은행의 가계주택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지난 4ㆍ4분기 -9에서 1ㆍ4분기 -34로 급감했다. 지난해 4ㆍ4분기 지급준비율 인상, 11ㆍ15 부동산 대책 등에도 불구하고 크게 변하지 않았던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더 엄격하게 운영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편 이날 한은이 발표한 ‘2006년 11월 광의유동성(L)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돈의 규모를 일컫는 광의유동성 잔액(잠정)은 1,813조원으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면서 한달 사이에 무려 26조1,000억원(1.5%)이 증가했다. 이는 전월의 증가액 8조1,000억원(0.5% 증가)에 비해 증가폭이 크게 확대된 것이다. 특히 전년 동기 대비 광의유동성 잔액 증가율은 11월에 10.3%를 기록, 카드사태가 발발하기 직전인 2003년 2월의 12.9% 이후 45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