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함께하는 삼성' 점차 뿌리내린다

18일 삼성 '2·7 발표 100일'<br>자원봉사활동·구조본 축소 등 구체화<br>'삼지모' 결성은 늦어져 '2% 아쉬움'<br>"채찍보다 격려를" 국민정서도 변해야


삼성이 국민과 여론 앞에 고개를 숙인지 만 100일(오는 18일)을 앞두고 있다. ‘반삼성 정서’ 해소를 위해 내놓았던 삼성의 대책들은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삼성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혼자 달리는 1등에서 함께 하는 1등으로, 독불장군에서 주위를 살피는 국민속의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는 18일 삼성의 2ㆍ7 발표 100일을 앞두고 삼성의 변화와 과제를 다시 점검해 보았다. ◇2ㆍ7발표 점검=‘반삼성 대책’의 핵심은 멀어진 삼성과 사회와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다.일단 사회와 간격을 좁히기 위한 삼성의 노력은 합격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2ㆍ7 발표 이후 한층 강화된 사회공헌활동은 ‘함께하는 삼성’이란 이미지를 서서히 심어 주고 있다. 특히 지난 4월13일 발족한 103개 자원봉사센터는 각 계열사의 자원봉사활동을 체계적으로 만들고 있다. ‘삼성공화국’의 빌미가 됐던 구조조정본부도 축소ㆍ개편했다. 지난 3월8일 삼성은 구조조정본부를 ‘삼성전략기획실’로 명칭을 바꾸고 1실5팀을 3팀제로 축소하는 한편 인원을 147명에서 99명으로 줄였다. 이에 앞서 삼성로펌이란 소리까지 들었던 구조본 소속 법무실은 수요회(사장단협의회) 산하로 이관, 계열사 CEO의 경영 관련 법률자문을 담당하는 한편 법률봉사단을 만들어 저소득층, 장애인 등에게 법률봉사를 하고 있다. 이 회장이 내놓은 8,000억원은 아직 명확한 용도를 정하지 못했다. 교육인적자원부가 맡아 집행한다는 계획 정도만 정해졌다. 이학수 부회장은 자원봉사센터 발대식이후 기자들과 만나 “조건없는 출연인 만큼 용도에 대해 삼성이 나설 문제는 아니다”며 “다만 정부가 도움을 요청하면 언제든지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들이 잔뜩 기대를 모으고 있는 상생경영 방안은 아직 검토중이다. 오는 24일 청와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회의’를 전후해 발표될 상생경영 방안에는 자금ㆍ기술ㆍ시스템ㆍ경영노하우 등의 지원이 모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 내부에서는 금액상으로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2010년까지 협력사에 1조2,000억원을 지원하겠다는 방안을 넘어서는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2%의 아쉬움=2ㆍ7대책 5개항목중 ▦8,000억원 헌납 ▦법적 소송 취하 ▦사회공헌활동강화 ▦구조조정본부 추고 및 계열사 독립경영강화 등은 구체적인 후속조치가 취해졌다. 하지만 삼성이 사회의 쓴소리를 듣겠다고 밝힌 ‘삼성을 지켜보는 모임(삼지모)’은 당초 계획보다 늦춰지고 있다. 이 부회장은 4월13일 기자들에게 “인선작업이 대부분 마무리됐고 다음주(4월20일경)에는 공식 발표후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삼지모는 현대차 사태 등과 맞물리며 아직 감감 무소식이다. 삼성 관계자는 “인선작업이 마무리 되지 않았다”며 “현대차 사태와 연관이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재계에서는 현대차 사태 이후 삼지모에 참여하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가 나타나며 인선작업이 진통을 겪는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의 아킬레스건인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고민은 계속되고 있지만 뚜렷한 개선책은 나타나지 않았다. 2ㆍ7발표 이후 각 금융계열사들이 사외이사의 역할을 강화하며 금융자본과 산업자본간의 교류를 통해 유지해온 삼성의 지배구조의 변화를 예고했지만 가시적인 변화는 없다. 국민기업으로 거듭나는 삼성의 입장에서 지배구조는 어쩔 수 없는 아킬레스건이고 또 해법을 찾아야 하는 문제다. ◇채찍보다는 격려를=1등주의에 매몰돼 있던 삼성의 변화에 지금은 채찍보다는 격려가 필요하다. 지나칠 정도로 삼성을 차갑게 대해온 국민정서도 뒤따라 변해야 한다. 삼성의 사회봉사활동을 색안경을 쓰고 보기보다는 같이 참여해주고 박수를 보내 격려해야 한다. 삼성의 2ㆍ7 발표는 우리사회에서 잘못 설정됐던 대기업과 중소기업, 기업과 시민, 기업과 국가 간의 ‘대척적인 관계’를 앞으로 ‘상생의 관계’로 전환하자는 제의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반삼성 기류는 그동안 우리 사회에 ‘반기업정서’라는 걸림돌을 만들었고 기업의 경졍력을 안에서 갉아먹는 상황까지 만들었다. 이번 삼성의 변화를 계기로 국민과 삼성, 국민과 기업간의 냉랭했던 관계과 ‘이해와 협력’의 화합 관계로 성숙되는 것을 우리 사회가 지켜볼 수 있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