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간접투자 전성시대] 다양한 '신세대 펀드' 떠오른다

‘주식투자는 왠지 자신이 없고, 부동산도 오를대로 올랐고…’ 여유자금을 운용하고 싶은데 마땅하게 맡겨 놓을 곳이 없어서 고민하고 있 다면 투자리스크가 낮으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간접 투자상품에 주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국내 증시에 다양한 간접투자상품이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고 있다. 각종 파생상품과 연계해 위험관리가 가능하면서도 고수익을 챙길 수 있는펀드부터 고위험 고수익을 지향하는 공격형펀드, 안정적인 수익을 겨냥한펀드까지 상품 종류가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원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펀드 시장이 선진화되고 있는 것. 특히 외국인이 주도하는 장세가 이어지면서 직접투자로 수익을 내기 어려워지자 개인들이 간접투자 상품으로 눈길을 돌리는 것도 간접투자 전성시대를 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직접 투자할 때 보다 손실을 볼 위험이 적은 데다, 대박을 기록한 상품들도 여러 개 나오면서 간접투자 상품에 대한 관 심은 가히 폭발적이다. 업계에서도 특화된 상품을 개발, 새로운 고객을 유 인하기 위한 ‘마케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제는 간접투자의 시대=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국내 간접투자 시장은 크게 위축되어 왔다. 대우사태 등으로 고객들의 신뢰를 크게 잃으면서 상품의 리스크가 부각돼 투자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직접 종목을 고르고, 매수타이밍을 잡는데 시행착오를 겪던 개인들이 이제는 리스크 관리와 수익성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간접투자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간접투자의 가장 큰 장점은 리스크를 줄이면서도 주식 및 채권투자에 따른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투신ㆍ증권 등 업계에서도 다양한 상품과 고객만족 서비스로 고객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간접투자 상품에 대한 모든 것을 규정 하는 새로운 자산운용업법의 시행도 간접투자 붐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산운용업법은 더욱 다양한 유형의 상품이 나올 수 있는 길을 열었을 뿐 아니라 투자자 보호에도 역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다양한 펀드와 주가지수연계증권(ELS), 일임형 랩 상품을 내놓 고 물러설 수 없는 최후의 일전을 벌이고 있는 셈이다. ◇간접투자 대전(大戰)=최근 쏟아지고 있는 간접투자 상품의 종류나 그 숫자를 보면 가히 간접투자 상품의 르네상스라 할만하다. 투신권은정통 주식형ㆍ채권형은 물론 절대수익 추구형, 해외 투자형 등 다양한 유형의 펀드 상품들을 내놓고 있고, 증권사들의 ELS와 일임형 랩어카운트(Wrap Account)를 통해 이에 맞서고 있다. 우선 주목할 만한 상품은 적립식펀드. 이 펀드는 은행 적금처럼 일정액을적립해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내는 상품이다. 최근 ‘1억 만들기 열풍’과 맞물려 인기를 끌고 있다. 장기간 돈을 분산해 투자하기 때문에주가하락에 따른 위험성이 일반 주식형 펀드 상품 보다 낮다는 게 장점이다. 전문가들은 주식시장의 기복이 심한 국내시장에서 장기적으로 목돈 만 들기에 적합한 상품으로 추천하고 있다. 최근 투신권이 집중적으로 밀고 있는 상품은 절대수익 추구형 상품이다. 일반 주식형펀드가 주가 상승 시에만 수익을 낼 수 있는 것과 달리 절대수 익 추구형 펀드는 주가 등락과 관계 없이 일정 수익을 내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펀드의 주식비중을 10~30%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운용하고 나머지 자산을 채권ㆍ선물옵션 등에 투자한다. 현ㆍ선물간 차익거래, 롱쇼트 플레이 등 첨단 운용기법을 동원해 원금을 보전을 추구하면서 은행 이자 보다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운용된다. 최근 연 60~80% 이상의 대박을 낸 상품이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품이 주가연계증권(ELS)이다. ELS는 이미 지난해 출시 이후 부터 고수익을 기록하며 히트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은행권의 주가지수연동정기예금(ELD), 투신권의 주가연계펀드(ELF)와 함께 대부분 원금에다 은 행이자 보다 조금 더 높은 수익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 이후 주가가 큰 폭 으로 오르면서 일부 상품들이 은행이자의 5~20배가 넘는 고수익 행진을 벌 이고 있다. 최근 주가가 많이 오르자 주가가 떨어질 때도 수익을 내는 상품이 나오는등 갈수록 상품이 진화되고 있는 것도 흥미롭다. 이와 함께 증권사들이 고객의 돈을 전적으로 맡아 운용하고 그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 상품이 일임형 랩어카운트다. 증권사들이 종합자산관리 서비스 상품으로 경쟁적으로 내세우면서 짧은 기간에 간접투자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전문가들이 포트폴리오를 짜서 리스크 관리를 대행해주는 등 맞춤식 상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다. ◇간접 투자할 때 체크 포인트=간접투자 상품을 고를 때 가장 중요 한 것이 포트폴리오 구성과 운용사 선정이다. 자신의 투자성향이나 자금의 성격과 투자기간, 투자목표 등을 고려해 포트폴리오를 짜야 한다. 예를 들 어 1억원의 여유자산을 굴리고자 하는 투자자의 경우 주식형펀드 및 ELS에 50%, 채권형 펀드에 30%, 언제든지 현금화 할 수 있는 머니마켓펀드(MMF)에 20% 를 배정하는 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된다. 물론 좀더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주식형의 비중을 늘리고, 보수적인 투자자 라면 채권형의 비중을 늘리는 식으로 변화를 주면 된다. 자산 구성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운용사의 선정. 운용능력이 검증된 회사를 선택해야만 소중한 자산을 안정적으로 굴릴 수 있는 것은 물론 높은 수 익도 기대할 수 있다. 단순히 특정기간 동안 수익률이 높은 운용사를 선택 하기 보다는 운용철학과 운용 및 리스크 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종합적인검토가 필요하다. 이 밖에 환매 규정, 상품구조 등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도 간접투자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는 요령이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