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경트럭연비 강화 추진

車업계 "부담 는다" 반발… GM등 시위·로비나서미국 정부가 스포츠레저용차량(SUV)을 비롯한 경트럭의 연비를 높이는 방안을 추진함에 따라 자동차 업계가 강력히 반발하는 등 파장이 일고 있다. 미국에 자동차를 수출하는 해외 업체들 역시 이 같은 방침에 대한 구체적 확인에 나서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 전국고속도로교통안전청(NHTSA)이 오는 2005~2007년 모델 차량들에 대해 연비를 1 갤론 당 0.5 마일씩 3년에 걸쳐 1.5 마일을 의무적으로 상향 조정토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중동 원유에 대한 의존도를 조금이나마 줄여보겠다는 게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생각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 같은 계획은 초안 마련 단계부터 미 자동차 메이커들로부터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실제 제너럴 모터스(GM)ㆍ포드 등은 연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엔진 및 트랜스미션 기술을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면서 이 같은 계획에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또 연비 향상을 위해서는 차체의 크기를 줄일 수 밖에 없고, 이럴 경우 차의 안전도는 더욱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회사들은 연비기준 상승을 막기 위해 로비스트를 대거 동원, 백악관을 비롯한 워싱턴 정가에 대한 로비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저널은 분석했다. 각국 자동차 업체들 역시 이에 따른 파장 분석에 나섰다. 한국과 일본의 일부 자동차 업체와 같이 이미 연비가 높은 업체는 예외지만 대부분의 업체들은 연비기준 강화에 따른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반면 시민단체, 종교 단체들은 환경문제를 앞세워 좀더 강력한 규제 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일부 종교단체는 정부의 연비기준 상승에 반대하고 있는 미 자동차 빅3에 대한 불만의 표시로 이들이 몰려있는 디트로이트시에서 20일 시위를 벌였다. 미국 정부가 자동차 메이커들에 연비를 의무적으로 상향 조정토록 한 것은 지난 1996년에 마지막으로 있었다. 정부는 당시 경트럭의 평균 연비를 1993년에 정해진 갤론 당 20.4 마일에서 20.7 마일로 상향 조정했었다. 그러나 그 때는 비용부담이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SUV 판매가 급증하면서 빅3가 모두 기록적인 이익을 냈었다. 장순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