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SMD, 협력사 사장단과 '동반' 봉사활동

연산 15만대 규모 완성차 공장 기공<br>하반기 신형그랜저등 투입… 올 9만2,600대 판매 목표

현대차가 세계 4위 자동차 시장인 브라질에 연산 15만대 규모의 완성차 공장을 건립, 우위를 점하고 있는 미국ㆍ유럽 업체들을 상대로 본격적인 시장확대 경쟁에 나선다. 이 공장에서는 중남미 전용 소형 해치백 모델을 바이오 에탄올과 가솔린을 함께 사용하는 혼합연료차(Flexible Fuel Vehicle)로 생산한다. 25일 현대차는 브라질 상파울루주 피라시카바시에서 신종운 현대차 부회장, 제라우두 알키민 상파울루 주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차 브라질 공장 기공식을 가졌다. 총 6억달러가 투입될 브라질 공장은 브라질 제1의 도시인 상파울루시에서 북서쪽으로 160㎞ 떨어진 피라시카바시에 들어선다. 전체 139만㎡(42만평)의 부지위에 프레스ㆍ차체ㆍ도장ㆍ의장ㆍ공정을 갖추게 되며 건평은 6.9만㎡(2만1,000평)에 달한다. 현대차는 브라질 공장을 준공하게 되면 브릭스 전국가에 현지 생산체제를 갖추게 된다. 또 해외공장의 생산능력은 265만대로 늘어난다. ◇세계 자동차 각축장 된 브라질=지난해 브라질 전체 자동차 수요는 324만대로 중국ㆍ미국ㆍ일본에 이어 세계 4위를 차지했다. 브라질이 다른 시장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은 정부의 에탄올 사용촉진 정책에 힘입어 에탄올 혼합연료차의 비중이 전체에서 9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소형차인 B세그먼트 판매가 177만대로 전체의 54.4%에 달한다.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브라질의 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잇따라 증설에 나서고 있다. 시장 점유율 1위인 피아트 오는 2014년까지 44억유로를 투자 브라질 북동부 페르남부쿠주에 연산 20만대의 신공장을 건설한다. 폭스바겐은 생산시설 확대를 위해 2014년까지 35억달러를, 포드도 앞으로 4년간 23억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도요타ㆍ혼다ㆍ닛산 등 일본의 빅3업체도 현지 생산능력을 늘리기 위한 투자에 나서고 있다. 중국업체들도 저가를 무기로 시장확대를 노리고 있다. ◇현대차 "현지 전략 소형차로 승부"=현대차는 지난해 전년동기 대비 19% 늘어난 8만대를 판매해 전체 해외브랜드 가운데 10위를 차지했다. 차량에 대한 관세가 30%가 넘는 브라질에서 공장은 물론 소형차ㆍ혼합연료차량도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선전했다는 평가다. 현대차는 올해 9만2,600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대비 18.2% 늘어난 것으로 전체 시장 증가율이 5%로 예상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3배를 웃돈다. 올 하반기에는 신형 그랜저, 벨로스터 등을 투입해 판매촉진은 물론 브랜드 이미지 개선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여기에 공장까지 완공되면 현대차의 경쟁력은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브라질 공장이 완공되고 전략형 소형차 개발이 완료돼 시장 규모가 큰 B세그먼트 시장을 공략하게 되면 시장 점유율이나 판매대수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차는 브라질을 포함한 중남미 전체로는 24만2,000대를 판매 목표로 잡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