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창조경제를 핵심경제정책으로 내세운 후 부처마다 앞다퉈 이를 거론하고 있지만 정작 국민들은 그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창조경제를 실감하는 국민들은 더더욱 찾기 힘들다는 것이 중론이다. 왜 그럴까. 그 이유는 창조경제라는 화두가 국민들과 충분히 교감을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점에서 창조경제를 이루기 위한 몇 가지 조건들을 짚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창조경제로 인한 경제효과를 계산하기에 앞서 창조 그 의미에 대한 고민이 우선돼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언급한대로 창조경제의 핵심은 창의성이고 창의성은 창조경제의 견인차다. 여기서 창의성은 단지 기발한 발상,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아니라 경제 유발 효과가 있는 '창의적 솔루션'을 말한다. 지난달 말 성공적으로 막을 내린 부산국제광고제의 슬로건 역시 '창의적 솔루션'이었다.
성공사례 발굴 국민 이해시켜야
고(故) 정주영 회장은 1971년 울산조선소 건설에 영국 회사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당시 500원짜리 지폐에 그려진 거북선 그림을 보여주며 우리나라는 이미 1500년대에 이러한 정교한 배를 건조했다며 설득한 바 있다. 이러한 창의적 솔루션을 만들어내는 국민들의 능력을 키워야 창조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국민들에게 창조경제를 알기 쉽게 설명하는 정책 홍보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필요하다. 막연하고 어려운 얘기만 할 것이 아니라 성공 사례를 보여줘야 국민들은 쉽고 재미있게 받아들일 것이다. 예컨대 2009년 '세계 최고의 직업'이라는 섬 관리자 모집 광고를 낸 호주 해밀턴섬 같은 사례를 알려야 한다. 이 광고는 인터넷을 타고 세계 30억명 이상에게 전파돼 200여개국 3만4,000명이 지원해 약 190억원의 홍보 효과를 거둔 바 있다.
우리 정부도 방송캠페인ㆍ공익광고ㆍ특집방송이나 특집기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각급 학교에서 이러한 사례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창조 스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일방적인 정보 전달에 그치지 않고 국민들이 창의적 솔루션을 만들고 찾아내서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모전 개최, SNS 채널과 창조 포털을 운영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창의성 키우는 미디어 활용도 필요
마지막으로 국민들이 창조경제를 체감할 수 있는 융합 프로젝트의 시범적 운영을 제안한다.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매년 3월에 열리는 '사우스 바이 사우스 웨스트'라는 행사는 음악ㆍ영화ㆍ인터랙티브 등 세 분야에서 세미나ㆍ전시ㆍ시상ㆍ창업지원ㆍ잡페어 등을 동시에 열어 시너지를 높인다.
우리도 영화, 방송, 광고, IT, 디지털 마케팅 등 공통분모를 갖고 있는 분야를 묶어서 창의성과 산업을 연결하는 컨버전스 프로젝트로 '창조 페스티벌'을 개최할 것을 제안한다. 여러 분야가 융합하는 페스티벌을 통해 국민들이 창조경제를 직접 체험할 수 있음은 물론, 실제로 융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앞서 언급한 제안들에 대해 부처들이 검토했거나 일부 시행했을 수도 있지만 이를 어떻게 실행하느냐에 따라 효과의 차이는 크다. 민간차원의 '창조센터'설립과 말랑말랑한 최고고광고책임자(Chief Creative Officer)의 리더십이 필요한 이유다. 국민들의 이해와 성원을 이끌어내기 위해 국민들 눈높이에서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