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바람직한 하나로 해법

“다된 밥에 코 풀어서 어쩌자는 겁니까” “더 좋은 조건도 있는데 헐값에 파는게 말이 됩니까” “도대체 LG가 무엇을 했습니까” LG와 SK텔레콤, 삼성전자 등 대주주간 갈등에 주무부처인 정보통신부까지 가세하면서 하나로통신 경영정상화를 위한 매듭이 꼬일대로 꼬이고 있다. 하나로통신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일련의 과정을 보면 주체만 다를뿐 똑 같은 상황들이 수 차례에 걸쳐 반복되고 있다. 파워콤과 두루넷 인수를 전제로 한 외자유치안이 무산된 이후 LG의 유상증자안이 SK와 삼성의 반대로 주총에서 부결됐다. 이어 단기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한 전환사채 발행이 주주들의 외면으로 기업어음 발행으로 바뀔 수 밖에 없었고 급기야 정통부가 주요 주주들을 불러모아 합의를 촉구하기에까지 이르렀다. 정통부의 합의촉구 이후 열린 이사회가 우여곡절 끝에 뉴브리지-AIG컨소시엄의 11억달러 외자유치안을 의결하고 추석 연휴 직전인 지난 9일에는 정식계약까지 체결했지만 반복은 계속될 전망이다. 시장을 통해 지분을 늘린 LG가 외자유치안 부결을 단단히 벼르고 있기 때문이다. 과연 왜 이 같은 일들이 반복되고 있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해 보인다. 표면적으로는 하나로통신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방법론의 차이지만 각 주주들은 자사의 이익을 위해 한치도 물러설 수 없는 입장이다. 문제는 정통부의 적극적 개입이 오히려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는 점이다. 공개적이든 묵시적이든 외자유치를 `선`으로, 그리고 이를 반대하는 LG를 `악`으로 몰아감으로써 타협의 접점을 찾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셈이다. 외자유치 실적을 올려야 하는 정통부의 고민도 이해는 된다. 하지만 시장경제에서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큰 명분은 `이익 극대화`이며 그 방법이 정당하다면 시장과 정부는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 개입이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켰다면 이제 다른 방법론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 어느 한쪽(LG)을 몰아세우기 보다는 주주들이 원만한 합의를 도출해 낼 수 있는 또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할 때다. <정두환기자(정보과학부) dhchung@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