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나친 은행권 수수료 인상

시중은행이 새해 들어 각종 수수료를 잇달아 인상, 은행이 손쉬운 영업에만 힘을 쏟고 있다는 비판의 소리가 높다. 반면 예금금리에 대해서는 이를 낮추었거나 인하 방침으로 있다. 또 제휴 증권사들도 덩달아 수수료를 올려 고객들의 부담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은행권의 이 같은 수수료 인상은 새해에 들면서 러시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담합`의 인상도 짙다. 이번에 인상된 시중은행의 수수료는 송금수수료를 비롯해 영업시간 후 타 은행 자동화기기 현금인출ㆍ예금잔액 증명ㆍ어음보관 등 서민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들이 대종을 차지한다. 실제로 한 시중은행의 수수료 인상 내역을 보면 같은 은행 내에서 이체하는 경우 10만원이하는 600원에서 1,000원으로, 500만원이하는 1,6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렸다. 또 다른 은행은 예금잔액 증명 등 수수료는 건당 1,000원에서 2,000원으로, 부도처리 수수료는 장당 5,000원에서 10,000원으로 인상할 계획이다. 인상액은 1,000원대가 대부분이지만 인상율로 볼 때는 100%에 이르는 것도 상당하다. 올 물가인상을 마치 은행권이 선도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시중은행은 수수료를 이처럼 줄줄이 인상하면서 예금금리는 현재보다 더 낮출 방침으로 있어 고객들로서는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렇지 않아도 저금리에, 금리가 더 떨어질 경우 물가 상승율을 감안한다면 사실상 `제로 금리`라는 점에서 불만이 증폭되고 있는 것이다. 은행이 스스로 비용을 절감할 노력은 하지 않고 손쉬운 영업에만 치우치고 있다는 일반의 비판도 그래서 수긍이 가는 대목이다. 특히 `몇 집 건너 한 점포`식의 영업전략을 아직도 고수, 구조조정과는 거리가 먼 은행권으로서는 이를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지금은 글로벌 경제시대다. 세계경제가 동시성ㆍ동조성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국경이 없어 진지 오래다. 외환위기 후 우리나라는 제일은행이 미국계 자본에 팔리는 등 금융권이 완전 개방됐다. 국내 은행들도 통페합(빅뱅)을 통한 대형화로 선진제국의 파상 공세에 맞서고 있다. 그러나 금융기법은 여전히 옛 그대로다. 가계대출의 비중이 높은 것도, 수수료율의 인상으로 비용을 커버하겠다는 발상도 그렇다. 이제는 선진금융기법으로 활로를 찾아야 한다.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은행들이 작은 점포 수에 비해 엄청난 영업이익을 올리는 것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고객들의 부담으로 비용을 대체하겠다는 생각은 구태의연한 발상이다. <양정록기자 jryang@sed.co.kr>

관련기사



양정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