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김문수 경기지사 "과학벨트 정치적 분산은 역풍 맞을것"

충남도청서 특강

"구제역 확진 판정권 지방으로 분산해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중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은 분산하지 않는 게 맞습니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11일 충남도청 대강당에서 열린 '자치와 분권으로 통일 강대국 만들자'라는 주제의 직원 대상 특강이 끝난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과학벨트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과학자들이 논의한 의견을 존중해야지 정치적으로 나눠갖는 것은 역풍을 맞게 돼 있다"며 "정부도 분산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충남도청 특강이 차기 대권을 염두에 둔 포석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오늘 안희정 충남지사가 저를 불러줘 특강을 하게 된 것"이라며 "대권 때문에 온 것이라면 안 지사가 제 대선 선대본부장이 되는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황해경제자유구역 내 충남 아산시 인주지구와 경기도 평택시 포승지구 개발사업 포기를 검토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그는 "포승지구의 경우 땅값이 3.3㎡당 200만원을 넘어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많다"며 "LH가 사업을 포기할 경우 새로운 투자자를 물색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투자자를 물색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토로했다. 구제역 등 가축 전염병의 효율적인 예방대책에 대해 "지방에서 구제역이 발생하면 경기도 안양에 있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까지 와야만 확진판정을 받을 수 있는데 이제는 중앙이 갖고 있는 '확진판정권'을 지방으로 분산시켜야 한다"며 "농촌행정의 폐쇄성과 중앙집중 때문에 각종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 기회에 농업 분야도 과감하게 지방분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그는 도청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특강에서 수도권 규제완화와 관련, "이제 수도권과 지방을 나누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수도권에 대한 규제를 풀어줘야 하며 (이에 앞서) 지방은 더 풀어주고 밀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내년 말 홍성ㆍ예산 일대에 들어설 내포신도시 조성사업(충남도청 이전 신도시)과 관련해 "대전과 충남ㆍ충북이 하나로 합쳐져야 힘을 발휘할 수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한 뒤 "(불가피하게) 사업을 할 수밖에 없다면 기업과 명문학교를 유치해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