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제값 못하는' 프리미엄 햄·소시지

업계, 가격 요인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조사


시중에서 팔리는 프리미엄 햄과 소시지의 가격이 일반 제품에 비해 최대 1.65배 비싼 반면 품질은 오히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목우촌과 진주햄 등의 제품에서는 반드시 제품 포장지에 표기돼야 할 식품 보존료의 성분 표기가 빠진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녹색소비자연대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의 예산지원을 받아 가장 많이 팔리는 8개 햄 제품과 4개 소시지 제품을 대상으로 가격ㆍ품질을 비교한 결과, 프리미엄 제품의 가격은 1.27~1.65배 비싼 반면 품질은 일반햄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미엄 브랜드인 ‘목우촌 불에 구운 김밥햄’의 경우 일반 햄에 비해 고기 함유량이 0.27%포인트 적었고 나트륨은 1.4% 많았다. 또 식품첨가물은 2개 더 추가됐지만 가격은 일반 햄의 1.28배에 달했다. 롯데의 프리미엄급 제품도 품질이 별 차이 없었지만 일반 제품에 비해 27%더 비쌌다. 또 목우촌 ‘주부9단 김밥햄’등 4개 제품에서는 허용한도의 소량이지만 성분표기에는 없는 소르빈산이 검출됐다. 소르빈산은 부패를 방지하는 식품첨가물이지만 암 등을 유발할 수 있어 반드시 제품 겉면에 표시토록 돼 있다. 녹색소비자연대는 소르빈산 검출 제품을 농림수산식품부에 통보하고 시정조치를 요청할 방침이다. 이 같은 발표에 대해 CJ, 대상 등 식품 기업들은 제조 공정, 제품 소재의 가격, 기획 상품 유무 등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식품 업계 관계자는 “제품 품질을 특정 성분의 많고 적음으로 규명하려 드는 조사방식부터 잘못됐다”며 “가격에 시비를 걸려는 의도에 충실한 보고서”라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