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새집증후군 원인물질 3년 지나야 사라져

환경과학원 연구결과

새로 지은 아파트에 입주한 지 3년이 지나면 새집증후군 원인물질들이 대부분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립환경과학원이 발표한 `공동주택 오염도 변화추이 파악을 위한 연구'에 따르면 입주 2개월 후 측정한 실내공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는 톨루엔 254㎍/㎥, 폼알데하이드 212㎍/㎥였으나 입주 3년 후 36㎍/㎥, 75㎍/㎥로 각각 86%ㆍ65% 줄어들었다. 국제발암연구소가 발암물질로 지정한 폼알데하이드의 농도도 평균 132㎍/㎥(8~485㎍/㎥)로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위해도가 관찰되는 수준인 1,000㎍/㎥ 미만이었다. 폼알데하이드는 입주 8개월이 지나면 입주 후 최고농도의 약 50% 이하로 떨어지지만 입주 1년 뒤 여름에 초기 최고농도의 80%까지 오르는 등 조사기간 3년 동안 농도가 안정화되지 않았다. 톨루엔ㆍ에틸벤젠 등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입주 6개월이 지나면 입주 후 최고농도의 절반 밑으로 떨어지고 19개월 뒤에는 약 20% 안팎에서 안정화됐다. 신축 아파트에서 3년 동안 살면서 실내 공기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흡입하더라도 건강에 대한 위해도가 암에 걸릴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발암성 물질인 벤젠으로 인해 암에 걸릴 확률은 남자가 `100만명 가운데 0.33명'이고 여자는 `100만명 가운데 0.47명'으로 미국 환경청에서 제시하는 발암위해도 판단기준치인 `100만명 중 1명'에 미치지 못했다. 새집증후군은 신축된 건물의 건축자재ㆍ벽지 등에서 나오는 폼알데하이드와 벤젠ㆍ톨루엔ㆍ에틸벤젠ㆍ자일렌ㆍ스티렌 등 휘발성유기화합물 때문에 거주자들이 겪는 두통ㆍ과민증ㆍ두드러기 등 건강 문제와 불쾌감을 통칭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