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화섬협회 "정유·유화업계 부당한 폭리"

TPAㆍEG 등 화섬원료 가격 인하 촉구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화섬업계가 화섬 원료를 공급하는 정유 및 석유화학업계가 부당한 폭리를 얻고 있다며 원료가격의 인하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원호 한국화섬협회장은 24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원유가격 상승으로 정유.유화업계가 원료가격을 인상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화섬업계는 원사 수요처인 직물업계 등의 경영난으로 원가상승분을 판매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이 회장은 이어 "정유.유화업계가 유가 상승분 이상으로 제품 가격을 인상해 막대한 수익을 얻고 있다"면서 "과도한 가격인상 등 부당행위를 공정위에 호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화섬업계의 경우 지속되는 경영난으로 지난해 13개 회원사 중 7개사가 적자를 낸 데 이어 올 상반기에도 7개사가 적자를 기록했으며, 금강화섬과 대한화섬처럼 가동을 중단하거나 조업을 단축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화섬협회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현재 유가는 작년 6월 대비 44.1% 상승했으나 폴리에스테르의 원료인 에틸렌글리콜(EG)의 가격은 58.2%, 나일론의 원료인 카프로락탐은 59.3% 인상됐다. 협회는 또 올 상반기 평균 유가는 작년 하반기 평균가격 대비 15.6% 올랐으나고순도텔레프탈산(TPA)의 원료인 파라자일렌(PX) 가격은 20.8%, EG 가격은 16.5% 인상돼 유가 상승 폭을 넘어섰다. 이 회장은 약 10% 수준의 이윤을 얻을 수 있는 적정 가격을 상정해 계산해본 결과 정유.유화업계가 과도한 가격인상으로 PX와 TPA, EG 등 3개 부문에서 약 6천억원정도의 추가 이익을 얻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고사 위기에 직면해 있는 화섬업계의 경영난 해소를 위해 정유.유화업계가원료가격을 인하함으로써 국내 섬유.화섬업계를 살리는데 일조해달라고 촉구했다. 이 회장은 이어 코오롱 구미공장의 파업사태와 관련, 법과 원칙의 테두리내에서노조활동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한 철저한 책임추궁과 무노동 무임금 원칙 고수를 통해 안정적인 노사관계를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지훈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