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광양만·김해 대기환경 개선 3,000억 투입

환경부는 2009년까지 3,079억4,400만원을 투입해 광양만 권과 김해시의 오존농도를 현재보다 23%와 31%씩 줄이는 내용의 대기환경실천계획을 지난달 24일 승인,고시했다고 7일 밝혔다. 전라남도와 경상남도가 새로 포함됨에 따라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한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돼 대기환경실천계획을 수립,시행하는 시ㆍ도는 기존의 서울, 인천,부산, 대구, 경기 등 5개에서 7개로 늘어났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전라남도와 경상남도는 광양만 권과 김해시의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산업시설과 발전시설에 질소산화물(NOx) 등의 줄이기시설 설치 ▦천연가스(CNG) 버스 485대 도입 ▦충전소 7개소 설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배출원 정밀조사ㆍ관리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또 전라남도와 경상남도는 추진 실적 보고서(매년)와 자체평가서ㆍ실천계획수정보고서(2년마다)를 환경부에 제출해야 한다. 광양만권은 99년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될 때 여수 석유산업단지와 광양산업단지, 하동화력발전소 등에서 배출되는 오존의 전구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과질소산화물에 의해 오존농도가 환경기준을 초과했다. 김해시도 자동차와 안동공업지구 등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에 의해 이산화질소와 오존이 환경기준의 80%를 초과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