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환시장 안정화/3년미만 국채 1백억불이상 발행

일일환율변동폭이 20일부터 현행 기준환율± 2.25%에서 기준환율±10.0%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당장 20일의 환율은 매매기준율 1천35원50전보다 1백3원55전 높은 1천1백39원5전까지 오를 수 있게 된다.그만큼 환리스크가 커지게 되지만 이같은 조치는 좁은 상승제한폭때문에 외환시장이 시장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던 점을 해소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풀이되고 있다. 환율이 사자 세력만 몰려 3∼4일씩 시장기능이 마비되면서 증시, 자금시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보다는 한꺼번에 상승압력을 해소, 증시 등에의 악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유동성이라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자는 조치인 셈이다. 정부가 3년미만 단기 국채(외화표시채권)를 발행, 중앙은행을 포함한 세계 주요금융기관에 판매해 대규모(1백억달러이상)의 외화자금을 조달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국내외 금리차가 2%이내로 축소된뒤 개방키로 했던 대기업의 3년이상 중장기 보증채권(발행잔액 54조원)에 대한 외국인투자가 오는 12월중 허용돼 사실상 채권시장이 전면 개방된다. 다만 외국인투자한도는 종목당 30%, 1인당 10%이내로 제한된다. 3년이상 중장기 무보증회사채와 전환사채(CB)도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정부가 지난 10월 발표한 채권시장 개방 확대계획이 크게 앞당겨지고 일부 한도도 추가로 확대된다. 외화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종합금융회사는 올 연말까지 타금융기관과 합병하거나 외화자산·부채를 일괄양도하는 등 구조조정을 마치거나 자산담보부증권(ABS) 발행등을 통해 외화수급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를 이행치 못하면 내년 1월부터 외환업무의 신규영업이 정지된다. 그동안 종금사들은 총 차입분 2백억달러중 1백29억달러(64.4%)를 1년미만 단기자금으로 조달해놓고 1백68억달러(83.7%)를 1년이상 장기로 운용, 기간불일치(미스매치)로 인해 최근 심각한 외화자금난에 시달려왔던 실정이다. 이 때문에 종금사의 외화자금 수급을 해결하기 위해 외화자산 및 부채의 일괄 양도 등 강도높은 대책이 마련됐다. 또 원화 장기시설자금의 원리금 상환을 위한 현금차관 도입이 연말까지 제한없이 허용되고 포철·가스공사등 우량 공기업의 외화차입이 확대된다.<임웅재 기자>

관련기사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