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미FTA 반대 투쟁 反美 시위로 변질"

與 의원들 비판 잇달아<br>"피해대책 올리기도 힘들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국회 처리 이후 극심해진 반대시위에 대해 한나라당이 "반미주의자의 책동"이라며 6일 제동을 걸고 나섰다. 시위자 중 일부가 한미 FTA 찬성을 무조건 반미로 몰고 가면서 현실적인 피해대책을 테이블 위에 올리기조차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경남 김해가 지역구인 김정권 당 사무총장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민주당의 원천적인 반대론자들은 반미성향으로 한미 FTA를 이념문제로 끌고 가고 있다"면서 "한미 FTA를 반대하는 농어민조차 이제는 싸게 들어오는 외국 농산물에 대한 후속대책을 논의하자고 말한다. 이제 국회가 할 일은 정부를 상대로 정책과 예산을 따오는 일" 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국가 간에 조율한 협정을 원천무효화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데도 야당은 무조건 반대만 주장하고 그걸 지적하면 매국노로 몰아간다"고 비난했다. 경북 고령ㆍ성주ㆍ칠곡군 등 농촌에 해당하는 지역 출신인 이인기 의원은 "지역구에서도 대다수 농민들이 한미 FTA가 체결돼야 우리가 먹고 살 수 있는 게 아니냐고 한다"면서 "현재 한미 FTA 반대집회는 농민들의 입장과는 다소 멀어진 채 반미정서를 업고 정치적인 주장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위대 일부에 대한 성토도 나왔다. 대구시 동구갑이 지역구로 검사 출신인 주성영 의원은 "더 큰 시장을 개방하는 한ㆍ유럽연합(EU) FTA 체결 때는 가만히 있다가 한미 FTA 때만 들고 나서는가. 시위마다 전문적으로 앞장서는 소위 '시위꾼'이 있다"면서 "왜 이들을 문제삼지 않는가. 이 사람들은 일반시민들의 생각과도 다르다. '닥치고 시위하라'는 식"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소속 정옥임 의원은 "반미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FTA 반대 내용에는 허점이 많다. 예를 들어 미국 이행법이 우리 FTA 협정보다 우위에 있다는 주장은 실제로 반박을 불렀음에도 계속되고 있다"면서 "이들은 협정 내용 자체보다 야당 총선공천연대와 반미이념을 설파하려는 의도가 강하다"고 주장했다. 원내대표단 소속으로 서울 송파갑 출신인 박영아 의원은 "시위대 일부에는 반미가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면서 "국회가 예산심의를 통해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민주당은 여야 협상과정에서 주장했던 FTA 피해보전대책 등을 지금 논의하지 않는 이율배반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