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틸리티株를 바라보는 엇갈린 시선

요금 현실화∙해외수주가 쟁점

유틸리티(전기∙가스) 업종을 둘러싼 증권업계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좋게 보는 쪽은 해외수주로 인한 모멘텀 획득에 점수를 주는 반면 안 좋게 보는 쪽은 공공 요금 인상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하루 동안 유틸리티 주에 대한 정반대 의견을 제시한 두 개의 리포트가 발표됐다. 메리츠종금증권은 한전기술과 한전KPS 등에 대해 해외 원자력발전소(원전)의 수주 모멘텀이 돋보인다고 분석했다. 경기에 편승하지 않는 유틸리티 업종의 특성상 ‘해외 발 훈풍’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김승철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우리나라 업체들의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볼 때 원전 수주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며 터키와 인도, 중국 등을 유력한 수출 가능 지역으로 꼽았다. 일부 전문가들은 유틸리티에 대해 ‘비용’에 해당하는 연료비의 결제수단인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최근 원화강세로 인한 수혜도 기대된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 토러스투자증권은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정책 규제 때문에 요금 인상이 쉽지 않다”며 유틸리티를 비중을 축소해야 할 업종으로 꼽았다. 해외 원전 수주보다는 요금 인상을 통한 안정적인 수익성 제고가 필요하지만 현재로서는 그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것. 김승현 토러스투자증권 연구원은 “물가에 대한 부담 등의 요인이 있기 때문에 정부가 이른 시일에 전기요금을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