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청각·시각 장애자 위한 '감각 도우미' 개발한다

교과부 융합연구단 2013년까지

청각ㆍ시각 장애자용 감각도우미 등에 활용될 새로운 개념의 복합감각 원천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신경모방 소자 및 인지시스템 융합연구단은 오는 2013년까지 약 250억원의 예산을 지원 받아 시각ㆍ청각ㆍ촉각 소자를 융합한 청각ㆍ시각 장애자용 감각도우미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신경모방 소자 및 인지시스템 융합연구단에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기계연구원 등 3개 연구기관과 충남대ㆍ경북대 등 15개 기관에서 약 150여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하고 있다. 로봇과 정보기술(IT) 분야 통신기술에 강점을 갖고 있는 ETRI는 시각센서를, 초소형 초미세기계가공(MEMS) 기술을 보유한 기계연구원은 청각센서, 표준연구원은 촉각센서 개발을 각각 담당하고 있다. 청각장애자를 돕기 위한 감각보조시스템인 '이어헬퍼(ear-helper)'는 특수 안경에 탑재된 청각센서인 초소형 MEMS 마이크로폰으로 청각신호를 감지하고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통해 소리의 위치 및 크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해주는 장치다. 시각장애자를 위한 '아이헬퍼(eye-helper)'는 표준연구원이 개발한 촉각센서와 ETRI의 시각센서를 결합해 청각과 촉각정보를 제공하는 감각보조시스템이다. 아이헬퍼는 카메라가 장착된 헬멧과 청각과 촉각센서가 장착된 지팡이로 구성된다. 위성항법장치(GPS) 위성신호와 적외선(IR) 초음파를 활용한 거리정보를 음성과 촉각화를 통해 시각장애자에게 제공하는 것. 연구단은 이와 함께 사람처럼 물질의 표면 성질을 파악할 수 있는 촉각센서를 개발해 휴대폰과 손목시계 형태의 휴대형 전자기기에 탑재시킬 계획이다. 이 같은 복합감각 융합원천기술은 향후 지능형 로봇, 차세대 PC, 가상현실을 비롯한 차세대 멀티미디어 분야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강대임 연구단 본부장은 "촉각센서 기술은 연간 5,000억원의 시장을 형성하는 터치스크린과 터치패드 소자 분야 선도를 위해 필수적"이라며 "선진화된 연구개발 지원 및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시각ㆍ청각 장애자의 감각 보조시스템 등 세계 시장 선점이 가능한 융합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연구개발에 필요한 우수연구자를 발굴해 동참시키고 주기적인 정보교류를 실시하고 있다"며 "조만간 열릴 6개 세부과제 책임자와 외부전문가 3명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원천기술 가능성을 확인하고 올바른 연구방향을 도출해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