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건설사 날마다 쓰러진다] 금융권 움직임

대출심사 강화등 돈줄죄기 나서<br>신용등급 재평가 돌입·대손충당금도 늘려<br>저축銀은 연체사태 우려 신규 PF대출 자제


건설업체들의 부도가 잇따르자 금융권이 건설업계의 돈줄을 죄기 시작했다. 3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건설업체들에 대한 대출심사를 강화하고 저축은행들은 신규 PF 대출을 최대한 자제하기로 했다. 시중은행들은 건설업체들의 신용등급을 다시 평가하는 한편 대출심사도 강화할 방침이다. 국민은행은 하반기 중 건설업체들을 대상으로 신용등급을 재평가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출금리를 조정할 계획이다. 또 신용등급이 하락한 건설업체의 대출금에 대해서는 대손충당금을 더 쌓을 예정이다. 또 건설업을 관리대상 업종으로 지정해 영업점장의 대출전결권을 제한했다. 기업은행도 건설업 관련 대출의 신용등급을 재평가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고 우리은행도 대출심사부서 및 일선지점에 건설업 대출심사를 강화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건설업 대출의 경우 영업점장의 전결권을 제한하고 심사를 한층 더 강화했다. 저축은행들도 신규 PF 대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전체 여신 중 PF 대출 비율을 30%로 줄여야 하는데다 최근 건설업체들이 잇따라 부도로 쓰러지자 담보가 확실하지 않으면 대출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금융권이 이처럼 대출심사를 강화함에 따라 건설업체들의 자금사정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들의 신용평가 결과에 따라 신용등급이 낮아지면 대상 업체의 대출금리는 높아지고 대출가능 금액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은행들도 건설업체들의 연체율 증가와 연이은 부도로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야 하기 때문에 수익성 악화를 감수해야 한다. 현재 건설업은 경기민감 업종으로 분류돼 ▦정상 0.9% ▦요주의 7% ▦고정 20% ▦회수의문 50% ▦추정손실 100%의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거래업체의 신용등급이 ‘정상’에서 ‘요주의’로 떨어져도 은행은 약 7.8배나 충당금을 추가 적립해야 한다. 특히 저축은행들의 경우 지난 2005년 말부터 2006년 초까지 2~3년 만기로 부동산 PF 대출을 집중적으로 집행, 올 하반기 대규모 연체사태를 맞을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최근 인정건설이 부도 처리된데다 일부 중견 건설업체들이 곧 부도로 쓰러질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며 “은행 입장에서는 건설업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출금액을 조정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