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인플레 헤지에 안정적 수익까지"… 삼성證 '골든에그어카운트'

삼성증권 직원이 17일 인플레이션 시대를 맞아 안정적인 자산증식에 초점을 맞춘 금융상품인 '삼성POP골든에그어카운트'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증권

‘은행예금+∝’ 인플레 헤지 가능 삼성증권이 베이비부머 세대를 겨냥해 신개념의 자산관리 상품을 내놓고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 서비스는 인플레이션 헤지를 하면서 안정적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어서 은행 단기예금과 보험권 연금 가입자들에게 상당한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증권은 17일 안정적인 자산증식에 초점을 맞춘 자산관리 서비스인 ‘삼성POP골든에그어카운트’를 출시했다. 이 상품은 자금 목적에 따라 ▦은행 단기예금을 대체하는 ‘시중금리+알파(α)솔루션’ ▦연금과 수익형 부동산을 대체하는 ‘월 현금수익솔루션’ ▦적립식 투자가 중심인 ‘스마트적립 솔루션’ 등으로 구성돼 있다. ‘시중금리+알파솔루션' 서비스는 지역채 3년물 80%와 원금95% 슈팅업ELS 20%를 결합해 채권 이자로 최소 3%수익은 확보하면서, 채권가격 상승이나 주가 상승시 플러스 알파를 노릴 수 있게 설계돼 있다. 박준현 사장은 “선진국의 사례에서 볼 때 장기 금리 하락으로 예금과 연금에 의존하는 대부분의 베이비부머들은 낮은 투자 수익률과 실질가치 하락에 직면하게 될 것”이며 “기존 증권사 자산관리 상품이 위험자산 중심으로 운용돼 왔지만, 이번 서비스에는 생활자금은 안전 자산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철학이 담겨있다”고 강조했다. 이 상품은 주식 등 단기 고위험 상품 편입을 배제하고, 별도 전용계좌로 자산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게 특징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국내 베이비 부머의 금융자산 규모는 약 185조원으로, 이중 예적금과 저축성 보험 등 인플레이션 리스크에 노출된 자산은 146조(7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세후 수익률이 3% 수준에 불과한 정기예금은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해도) 자산 증식은 커녕 실질자산의 가치하락을 초래한다”며 “글로벌 인플레 시대에 대비해 장기채권과 주식을 통해 인플레를 극복하고 자산을 증식시킬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