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중소기업의 자금난 대책 강구할 때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매출부진에다 금융경색으로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중소기업들의 자금사정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장기간 내수가 거의 실종된 가운데 최근 들어 수출환경마저 나빠지면서 기업들의 수익성이 떨어지는 등 경영사정도 악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다 금리상승 등 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도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중소기업의 부도율이 높아지는 등 후유증도 커질 수밖에 없다.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악화되고 있는 것은 현금자산이 감소하고 있는 데서 잘 드러난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등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 632개 기업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총액은 지난 6월 말 현재 48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에 비해 7.6% 감소한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들의 현금자산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자금난이 심화되자 기업들은 금융권 대출이나 회사채 발행, 유상증자 등을 통한 자금조달에 나서고 있지만 신용경색 때문에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8월 말 5개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원화대출 잔액은 전달에 비해 1조5,000억원 정도 감소했다. 상당수 중소기업들이 사채시장에 내몰리고 부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상당기간 신용경색에다 글로벌 경기침체가 불가피한 상황이어서 기업들의 자금사정도 덩달아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특히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들의 자금사정이 크게 악화될 우려가 있고 최악의 경우 흑자도산 또는 연쇄부도 사태를 초래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이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자금사정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신용보증기금 등의 보증능력을 확충하는 방안 등이 검토돼야 한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들도 '비올 때 우산을 빼앗지 않는다'는 상생정신이 요구된다. 덮어놓고 대출을 기피하거나 무리하게 대출자금 회수에 나설 경우 흑자도산 등을 초래해 해당 기업은 물론 금융기관의 대출부실도 오히려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