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오늘의 경제용어]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

[오늘의 경제용어]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최근 대두된 해킹 수법으로 해커가 여러 대의 장비로 엄청난 분량의 데이터를 한 곳의 서버에 집중 전송, 특정 서버의 기능을 방해하는 것. 영어로 DISTRIBUTED DENIAL-OF-SERVICE ATTACK이라고 한다. 올해 초 야후·이베이·ZD넷·CNN 등 대형 인터넷업체들에 발생한 해킹사고들이 이 수법에 의해 것이다. 이 수법은 공격자가 자신의 장비에서 보안이 취약한 다른 여러 곳의 서버에 침투해해킹 마스터 프로그램을 몰래 설치한 뒤 여기에 공격할 대상과 시간을 지정해두면 이들 서버가 한개의 목표 서버에 수많은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일시에 서버기능을 무력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공격에 사용되는 해킹 툴로는 트리누(TRINOO), TFN(TRIBE FLOOD NETWORK) 등이 있다. 분산 서비스 거부공격을 당하지 않으려면 인터넷서비스 제공업자(ISP)나 시스템 관리자 모두가 협력해 DDOS 해킹 툴 설치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입력시간 2000/08/27 17:23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