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盧 '부패와의 단절' 본격화

당직자·시민단체와 잇단 간담회 대책마련민주당 노무현 대통령 후보가 민심회복을 위한 '부패와의 단절'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특히 노 후보는 24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다음 대통령 임기인 5년안에 부패수준을 세계 20위권 성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대선) 공약으로 채택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재ㆍ보선을 겨냥, 민심을 되돌리기 위한 노 후보의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대중 대통령의 반(反) 부패 정책, 인사정책이 실패했다는 전제아래 추진되고 있는 '청산프로그램'은 'DJ와의 단절'이 초점이 될 수 밖에 없어 노 후보측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차별화'나 '단절' 등의 표현에 거부감을 표시해온 노 후보로서는 자신의 청산프로그램도 나의 의견이 아닌 우리(당)의 의견으로 내놓을 입장이다. 한화갑 대표가 월드컵 이후 다음달 초 부패청산 대책을 발표할 기자회견이 사실상 노 후보의 청산 프로그램을 구체화하는 성격이 될 전망이다. 한 대표는 24일 기자간담회에서 김홍일 의원 탈당과 아태재단 환원 문제에 대해 "개인의 문제이며 당에서 말하는 것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않고 아태재단은 이미 공익법인"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노 후보는 이날 신기남 정치부패근절대책위원장, 이미경 부패근절대책위원, 정세균 대선기획단 정책기획실장, 천정배 후보 정무특보, 함승희 후보 법률특보 등과 부패청산대책 간담회를 처음으로 가졌다. 이 자리에서 신 최고위원 등은 노 후보에게 "인간 노무현을 뛰어넘어 지도자 노무현으로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단순한 의리로 대처해선 안된다"면서 DJ와의 단절을 주문했다고 한다. 신 최고위원은 쇄신파 의원 모임에서 채택한 ▲ 김홍일 의원 탈당 ▲ 아태재단 사회환원 ▲ 김방림 의원 검찰 출두 ▲ 국회의장 자유투표 등의 방안을 제안했으며, 특히 "후보와 당 지도부가 친인척 비리, 인사실패, 부패연루 등 구시대적 정치행태에 대해 단호한 결별을 선언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정세균 의원은 이날 브리핑에서 "제도개혁뿐 아니라 현안에 대해서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주도적으로 해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노 후보는 "제도개선에 대해 책무를 다해야 하고 현안에 대해서도 좌시할 수 없다"고 밝힌 뒤 "정치부패근절대책위에서 이 문제를 제대로 연구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간담회에서는 또 고위공직자 수사처 구성과 불체포 특권 제한, 특검제 상설화, 인사청문회 확대, 부패조사위원회 조사권 부여 등의 아이디어도 제기됐다. 간담회에 이어 노 후보는 신기남ㆍ함승희ㆍ이미경 의원 등과 함께 부패방지위원회를 방문해 강철규 위원장 등 관계자들로부터 업무보고를 듣고 부패방지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노 후보는 26일에는 시민단체 대표 등과도 간담회를 갖고 의견을 청취하는 등 '청산프로그램' 마련 행보를 계속한다. 하지만 이날 부패청산 간담회에서 "당내 특정부분(쇄신파)의 얘기가 당론으로 정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아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마련되기 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양정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