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증시 10년간 본전도 못건졌다

31개국중 하락률 최고…美는 2배·中은 3배·헝가리 7배 상승

우리나라 증시가 최근 10년간 전세계에서 가장 부진한 부류에 포함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증시는 지난 10년간 주가지수가 오히려 떨어져 약세장 속에서 움직였으며 투자자들은 평균적으로 본전도 제대로 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의 ‘국제통계’에 따르면 지난 95년의 주가를 100으로 할 때 지난달 우리나라의 주가는 85.5에 그쳐 이웃 일본(87, 4월 기준)을 제치고 31개 주요 국가들 가운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95년 대비 우리나라 주가는 외환위기로 98년 43.7까지 떨어졌다가 99년 85.8까지 회복했으나, 이후 전반적인 침체를 유지하며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61~81선에 머물렀다. 95년에 비해 주가가 떨어진 국가는 우리나라와 일본밖에 없었으며 헝가리(765.7), 아이슬란드(548.7), 멕시코(452.2). 중국(313.6) 등은 95년에 비해 3~7배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구 주요 선진국 가운데서도 미국이 207로 2배 가량 오른 것을 비롯, 영국(122), 독일(139.8), 프랑스(199.7), 유로 지역 평균(187.2) 등도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와 관련, 재정경제부의 한 당국자는 “국내 증시는 우량주와 비우량주가 차별 없이 지수에 편입돼 있는데다 단기매매가 활성화돼 있어 크게 오르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며 “뉴욕증시 다우지수와 같은 우량종목 지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