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명함·자문위원 없앤 속뜻은…

'자리 만들기' 관행 탈피<br>박근혜 리더십 강화 포석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들과 전문ㆍ실무위원들이 명함을 만들지 않기로 했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9일 브리핑을 갖고 "오늘 간사단회의에서 인수위는 명함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결정했다"며 "인수위원은 부득이한 경우 명함을 사용할 수 있겠지만 전문위원과 실무위원은 명함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통상 명함을 사용할 경우 다른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항상 겸손한 자세를 유지한다는 차원"이라며 명함 제작 금지 배경을 설명했다.


인수위에 자문위원단 폐지와 함께 명함 금지 방침이 내려진 것은 박 당선인이 리더십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한다. 선거 과정에서 도와준 친박근혜계에 자리를 보장하지 않고 자리를 준 사람에게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선거가 끝나면 논공행상 차원에서 관련 인사들에게 새 정부와 관련된 자리를 줘왔던 게 우리 정치의 현실이었다. 박 당선인은 이 같은 관행을 탈피하면서 측근 논란을 배제하는 한편 자신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효과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의 한 관계자는 "박 당선인이 인수위를 출범시킬 때 친박 정치인을 배제하고 초반자문위원 제도를 없앴지만 반발이 나오지 않았다"면서 "당선인이 친박계를 완전히 압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친박계의 한 의원은 "당선인은 친박계라고 해서 부채 의식 없이 원칙대로만 인선했다"면서 "(캠프에 같이 했지만) 늘 마음을 놓을 수 없게 만드는 리더십"이라고 털어놨다.

관련기사



실제 지난 2008년 이명박 정부 인수위에서는 자문위원직을 이용해 고액의 상담료를 받은 부동산 컨설턴트가 검찰에 수사 의뢰된 일이 있었다. 자문위원을 했던 인사들은 이후에도 이 경력을 이용해 공기업과 공공기관의 수장이나 이사, 감사 등을 지냈다.

그러나 박근혜 인수위에는 자문위원이 없어지면서 이 같은 부작용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럼에도 일부 전문위원들이 친박계와 정치적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인수위 분과의 일부 위원들은 지역과 학교를 매개로 친박계 중진 의원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