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9일 브리핑을 갖고 "오늘 간사단회의에서 인수위는 명함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결정했다"며 "인수위원은 부득이한 경우 명함을 사용할 수 있겠지만 전문위원과 실무위원은 명함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통상 명함을 사용할 경우 다른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항상 겸손한 자세를 유지한다는 차원"이라며 명함 제작 금지 배경을 설명했다.
인수위에 자문위원단 폐지와 함께 명함 금지 방침이 내려진 것은 박 당선인이 리더십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한다. 선거 과정에서 도와준 친박근혜계에 자리를 보장하지 않고 자리를 준 사람에게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선거가 끝나면 논공행상 차원에서 관련 인사들에게 새 정부와 관련된 자리를 줘왔던 게 우리 정치의 현실이었다. 박 당선인은 이 같은 관행을 탈피하면서 측근 논란을 배제하는 한편 자신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효과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의 한 관계자는 "박 당선인이 인수위를 출범시킬 때 친박 정치인을 배제하고 초반자문위원 제도를 없앴지만 반발이 나오지 않았다"면서 "당선인이 친박계를 완전히 압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친박계의 한 의원은 "당선인은 친박계라고 해서 부채 의식 없이 원칙대로만 인선했다"면서 "(캠프에 같이 했지만) 늘 마음을 놓을 수 없게 만드는 리더십"이라고 털어놨다.
실제 지난 2008년 이명박 정부 인수위에서는 자문위원직을 이용해 고액의 상담료를 받은 부동산 컨설턴트가 검찰에 수사 의뢰된 일이 있었다. 자문위원을 했던 인사들은 이후에도 이 경력을 이용해 공기업과 공공기관의 수장이나 이사, 감사 등을 지냈다.
그러나 박근혜 인수위에는 자문위원이 없어지면서 이 같은 부작용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럼에도 일부 전문위원들이 친박계와 정치적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인수위 분과의 일부 위원들은 지역과 학교를 매개로 친박계 중진 의원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