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동계 "이달말 총력투쟁"

주5일 근무제요구 동시 재의조정신청 계획월드컵을 앞두고 노동계가 일선 사업장의 임단협 시기를 모아 동시에 쟁의조정 신청을 내기로 하는 등 월드컵 직전인 이달 하순 총력투쟁을 벌이기로 해 노동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주5일 근무제 도입협상이 결렬되면서 일선 대규모 노조를 중심으로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여 이 문제가 5, 6월 춘투의 핵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민주노총은 최근 비상대책위를 열고 1단계(8∼11일), 2단계(15∼18일)로 나눠 발전 등 기간산업 노조를 중심으로 한 민영화 저지투쟁에 집중하는 등 투쟁계획을 확정했다. 민주노총은 이어 월드컵 직전인 오는 21∼25일 각 사업장의 임단협 시기에 맞춰 연대파업을 전개하고 26일에는 서울에서 대규모 조합원 상경투쟁을 벌일 예정이다. 보건의료노조 산하 대형 병원들은 7일께 동시 쟁의조정 신청을 내고 투쟁에 돌입할 예정이며 금속노조와 택시노조 등도 쟁의조정 신청을 준비 중이다. 민주노총은 또한 노사정위가 주5일 근무 합의를 강행, 관련 법안이 국회 상임위에 상정될 경우 간부파업에 이어 전면파업에 들어가는 등 총력투쟁을 벌인다는 방침이다. 한국노총도 주5일 협상이 사실상 결렬됨에 따라 이번주 노사정위 본회의 결과에 따라 최종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투쟁기조로 전환, 이달 하순께 쟁의조정 신청을 집중하는 등 임단협 교섭투쟁에 주력하기로 했다. 특히 독자적인 주5일 근무제 임단협 교섭에 들어간 한국노총 산하 금융노조는 교섭에 진전이 없을 경우 이달 31일 파업 돌입을 목표로 쟁의조정 신청(15일), 대의원대회를 통한 파업 결의(22일), 파업 찬반투표(25일) 등의 투쟁계획을 수립, 사용자측을 압박하고 있다. 노동부는 중점 관리대상 사업장 41곳과 노사분규 취약 사업장 127곳 가운데 23개소가 월드컵 이전에 교섭 타결이 예상되고 25개소는 월드컵 이후로 교섭시기를 연기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월드컵 이전에 타결이 어렵고 연기도 불가능한 사업장이 113개소에 달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오철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