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입 모의고사 없어진다

70년대 이후 대학에 들어간 사람들이면 최소한 몇차례 치렀을 사설 입시기관의 모의고사가 사라진다. 교육부는 21일 내놓은 초.중등교육 정상화방안에서 모든 사설기관이 시행하는 전국 또는 지방단위 모의고사를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없애 오는 2001학년도에는 전면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현행 입시제도로 대학에 진학하는 지금의 고교 1학년생 이상에 대해서는 한시적으로 허용된다. 교육부의 이런 방침은 오는 2002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무시험전형이 일반화되고 수능의 변별력도 크게 줄어 굳이 모의고사까지 치러 학부모들의 사교육비를 가중시킬 필요가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교육부는 특히 가르친 교사가 문제를 출제하고 학생을 평가하는 것이 원칙임에도 사설 입시기관이 학생들을 평가하고 진학할 대학과 학과까지 예측해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따라서 지난 80년대 본고사 폐지 및 학력고사 실시로 최대 활황을 누린 뒤 아직도 3백억∼4백억대의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모의고사 시장은 아예 사라지게 됐다. 이와 함께 수천억원대의 시장규모를 보였던 학습지와 부교재 시장도 점차 몰락의 길에 접어들 것이 뻔해 치열한 입시경쟁의 뒷편에서 사교육비의 원흉으로 지적되던 사설 입시기관들은 업종 변화를 모색해야 할 기로에 서게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