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불안한 물가 안정에 최우선"

경제상황 점검회의

정부가 최근 크게 오르는 물가의 안정을 최우선 정책목표로 잡고 범정부 차원의 물가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재정경제부는 11일 오전 권오규 부총리 재경부 장관 주재로 농림부ㆍ건설교통부ㆍ산업자원부ㆍ기획예산처 차관과 금융감독위원장, 한국은행 부총재, 국무조정실장, 청와대 경제정책수석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물가와 금리ㆍ유가ㆍ부동산시장 동향 등을 집중 점검했다. 특히 정부는 서민경제에 큰 부담이 되는 물가상승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재경부 1차관을 반장으로 하는 범부처 물가안정대책반을 구성해 오는 15일 첫 회의를 열기로 했다. 국내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2월에 전년 동월비 3.6%나 오르고 서민들의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는 4ㆍ4분기에 4.5% 급등하는 등 물가상승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 정부는 최근 환율상승으로 유가와 국제 곡물가 등 대외 불안요인이 국내 물가에 그대로 반영됨에 따라 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고 보고 앞으로 재정ㆍ통화ㆍ외환 등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공공요금과 농축수산물의 수급을 안정시키는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다소 안정세를 찾은 금리와 부동산 가격 역시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정부는 진단했다. 현재 은행권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개월째 급등세를 보이고 있으며 91일물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재경부는 “CD 등 단기금리 변동폭이 다소 확대되고 있다”며 “시장금리 상승 압력이 상존하고 서브프라임 사태도 단기간 내 상황 개선을 예측하기 곤란하므로 불안 요인을 면밀히 점검해 적시에 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동산시장 역시 새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과 재개발 활성화 등으로 인해 국지적인 시장 불안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재경부는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해 지역 상황에 맞춰 일정 한도 내의 부동산 수요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수도권 연 30만가구, 전국 연 50만가구 수준의 주택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로 논의했다. 권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정권 임기 말의 느슨한 분위기를 인식한 듯 “경제정책에는 단절이 없다”며 참석한 각 부처 당국자들에게 “경제관리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