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의 웨스팅하우스 만든다

■수직계열화 구축 검토<br>설계·제작등 모두 묶어 건설·수출 효율성 강화<br>발전설비등 핵심기자재 경쟁통해 구매하기로


정부가 원전 사업체계를 수직계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히고 경쟁을 통해 원전 발전설비 핵심 기자재를 공급 받겠다고 선언하면서 원전건설과 관련된 산업지도에 어떤 변화가 올지 주목된다. 정부는 일단 중장기적인 과제로 수직계열화를 언급했다. 그러나 학계와 업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효율적인 원전건설과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수직계열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부가 아랍에미리트(UAE) 원전수출을 계기로 원전 수출확대정책에 시동을 걸면서 수직계열화 필요성이 다시 제기된 것이다. 결국 시기의 문제일 뿐 원전사업의 수직계열화가 추진될 경우 한국전력과 한전 자회사, 민간회사로 삼분된 원전 사업구도가 어떻게 변할지 지켜볼 만하다. ◇원전 사업체계, 수평적 업무분담에서 수직계열화로=UAE 원전수주를 위한 한전 컨소시엄에는 여러 업체가 있다. 건설 종합관리와 시운전은 한국전력과 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 담당한다. 원전설계는 한국전력기술이, 핵연료 공급은 한국원자력연료가 맡는다. 원자로 설비와 터빈 설비 등 발전에 필요한 핵심 기자재는 두산중공업이 제공한다. 건설과 시공은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이 나눠서 맡고 기기납품과 후방지원은 웨스팅하우스와 도시바가 맡는다. 또 원전에 사용되는 모든 기자재는 일차적으로 두산중공업이 조달하며 필요할 경우 웨스팅하우스가 제공하는 방식이다. 한 원전 전문가는 "웨스팅하우스 등 외국의 유수 원전 업체들은 설계와 제작 등 모든 기능을 갖춰 산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그런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정부가 중장기적인 과제로 제시했지만 검토 결과에 따라 이른 시간 내에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한국전력이 모든 회사의 지분을 인수하는 수직계열화가 될 수도 있고 지분소유 없이 전략적 제휴를 통해 업무를 하나로 묶는 수직계열화가 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발전설비 등 핵심 기자재도 경쟁을 통해 구매=정부는 원전의 핵심 부품인 발전설비와 기자재 공급을 경쟁을 통해 구매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지난 1999년 빅딜을 통해 두산중공업(옛 한국중공업)이 10년 동안 발전 부문에 대한 기자재 독점공급권을 받았지만 지난해 말로 독점권이 끝났기 때문이다. UAE 원전까지는 두산중공업이 독점적으로 기자재 조달을 맡았지만 앞으로는 그 위상이 흔들릴 수밖에 없게 됐다. 김영학 지식경제부 2차관은 "원전 공급능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자로 설비"라며 "현재 공급능력에 문제가 없지만 앞으로 추가적인 원전수주에 대비하려면 공급능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원전수출이 주력산업으로 부상하면 두산중공업이 기자재를 독점 공급하는 구조는 문제가 될 수 있다"며 "국내 원전 기자재 공급 시장을 경쟁체제로 만드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산중공업이 한국형 원자로의 실시권을 보유하고 있어 당장 위상이 흔들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지경부 관계자는 "원전에 발전설비를 공급하려면 설비ㆍ인력ㆍ기술 등이 있어야 하지만 당장 이를 갖춘 곳은 없다"며 "두산중공업이 한국형 원전에 대한 실시권을 갖고 있어 두산중공업의 허가를 받거나 웨스팅하우스 등 기술을 확보한 곳의 실시권을 얻어야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원전시장이 크고 정부가 경쟁체제를 도입하기로 한 만큼 중장기적으로는 경쟁업체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차관은 "지난 10년간 두산중공업이 원전 기자재를 독점해 당장 새로운 업체가 나타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며 "해외 유수 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하거나 국내 기업과의 합작투자를 통해 국내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