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권 권력암투로 비화 양상”/김덕룡 의원의 「음모」설 파장

◎희생양설·대권후보 사전정지설 등 난무/홍인길 의원 「깃털론」 이어 갈등 확산일로한보사태가 여권, 특히 민주계내의 권력투쟁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한보수사의 본질은 「누가 한보로부터 로비를 받고 대출압력을 넣었느냐」를 밝히는 일이다. 그러나 한보사태는 최근 검찰 발표를 앞서나간 정치인 관련보도를 계기로 여권내부의 암투로 비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여권내부의 권력암투라는 해석에는 특히 김영삼 대통령의 측근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어 「청와대 집안싸움」이라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비록 검찰의 공식발표는 아니었지만 홍인길, 권노갑 의원의 거액수수가 언론에 보도됐고 이어 김덕룡 의원등 정치인들이 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그러자 홍의원은 「깃털론」을, 김의원은 「음모설」을 제기했다. 김의원은 김대통령을 어려운 시절부터 그림자처럼 보필해온 가신그룹 실세중 한사람으로 「김대통령의 분신」으로 불려왔고 유력한 대권주자의 한명이다. 이런 위치의 김의원이 제기한 음모설은 그만큼 설득력이 있을 수밖에 없고 엄청난 파장으로 번지고 있다. 음모설은 ▲민주계내 경복고인맥과 반경복고인맥간의 암투설 ▲여권내 보수그룹의 민주계 파괴, 잠식설 ▲민주계 권력핵심부내의 파워게임설 ▲한보사태 수습을 위한 희생양설 ▲대권후보 사전정지 공작설 등이 난무하고 있고 일각에선 ▲민주계 단일화 공작의 일환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야당에서는 음모의 진원지로 김대통령의 차남인 현철씨를 거론하며 여권내 갈등을 부채질하고 있다. 한편 홍인길 의원은 천하가 다 아는 김영삼 대통령의 집사장이다. 홍의원의 깃털론에 대해서는 시중 여론이 『그럼 몸통은 누구냐, 밝혀라』는 쪽으로 흐르고 있다. 홍의원의 『내가 땅을 한평 샀느냐 아파트를 한채 늘렸느냐』는 말을 뒤집어 볼때 그가 받은 돈의 액수가 클수록 몸통의 존재는 부각된다. 그래서 청와대관계자들은 『그럼 누가 감옥에 가야 국민들이 만족하겠느냐』고 하소연한다. 문제는 정치인 관련 수사기밀이 언론에 누출된 상황이다. 정치적 목적을 띤 의도적 누출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지배적 해석이다. 당사자인 홍의원은 처음엔 청와대쪽을 의심했다. 그는 검찰소환전 청와대 고위관계자와 이 문제로 통화한 것이 확인됐다. 이 관계자와의 오해는 일단 풀렸다고 한다. 김의원측은 여권내 자파 반대세력을 지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적 생명을 훼손하기 위해 여권내에서 검찰의 수사 정보를 파악할수 있는 반대세력이 의도적으로 자신을 음해했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정태수 총회장 일가가 권력층과의 거래를 위해 정보를 흘리고 있다는 추측을 하고 있다. 또 「권력의 시녀」이기를 거부하는 젊은 검사들이 구사하는 고도의 수사기법이라는 해석도 있다. 아무튼 지금 여권은 한마디로 아수라장으로 치닫고 있다. 과연 이같은 상황이 의도된 연출의 결과라면 정치권은 대권가도와 맞물려 새판짜기가 불가피하며 그 파장은 야권까지도 포함되리라는 분석이다.<우원하>

관련기사



우원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