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하나지주 "이번엔 반드시…"

"또 실패하면 '빅3' 경쟁서 뒤처진다" 위기감<br>"시중 유동성 풍부해 자금조달 문제없어" 강조


‘은행 인수합병(M&A) 분야에서 4승1패의 승률을 기록한 하나금융지주가 LG카드 인수전에서는 어떤 결과를 낼 것인가. 외환위기 이후 은행 M&A전에서 패배를 모르고 달려오던 하나금융그룹이 외환은행 인수전에서 1패를 당한 후 곧바로 LG카드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금융권에서는 “하나지주가 이번에도 실패하면 국민ㆍ신한ㆍ우리로 굳어지고 있는 ‘빅3’의 경쟁에서 뒤처지며 신인도에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하나금융그룹의 역사는 ‘M&A를 통한 성장’으로 요약된다. 윤교중 사장은 “우리는 일상화된 M&A를 통해 커왔다”고 말했다. 지주사 설립 전 하나은행은 지난 98년 충청은행의 자산ㆍ부채를 넘겨 받았고 이어 99년 보람은행을 합병, 2002년에는 론스타와의 경합 끝에 서울은행 인수에 성공, 덩치를 키웠다. 지난해에는 영국계 금융그룹인 PCA가 인수를 포기하면서 대한투자증권까지 사들이는 데 성공해 12월 하나금융지주로 출범했다. 이 과정에서 자산규모도 엄청나게 늘었다. 충청은행 인수 후 27조8,000억원에 불과했던 자산규모는 보람은행 합병으로 47조1,000억원으로, 서울은행 합병 후에는 87조6,000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대투 인수 후 하나지주의 자산규모는 2005년 말 기준 106조원에 달한다. 만일 하나은행이 외환은행 인수까지 성공했다면 ‘금융대전’에서 우위를 차지하며 여유 있게 장기구상을 했을지 모르지만 국민은행에 ‘뼈아픈’ 일격을 당한 셈이다. 따라서 외환 인수전 패배에 이어 곧바로 시작되는 LG카드 인수전은 하나지주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카드 부문은 하나그룹의 취약한 영역이었다. 하나은행의 카드 회원 수가 4대 은행 중 가장 적은 268만명에 불과하고 자산규모도 1조원이 조금 넘는 수준이다. LG카드의 1,000만명 고객이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줄 수 있다. 금융계에서는 “하나그룹이 경쟁후보에 비해 자금동원력이 다소 떨어지고 시너지 효과도 크지 않으며 이번에도 실패할 경우 경영진의 부담이 커 본 게임 참여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윤 사장은 “그런 얘기가 나오는 이유를 알 수 없다”며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자금조달에 문제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