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직장암 치료에 로봇수술이 효과적

암 수술에 있어 로봇수술이 개복수술과 복강경수술보다 회복속도를 빠르게해 입원기간을 줄이는 등의 장점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이강영 교수팀은 지난 2007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직장암으로 개복수술과 복강경수술 및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 총 495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수술 후 회복 및 재원기간에서 로봇수술이 다른 두 수술법에 비해 장점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이강영 교수팀은 항문에서 매우 가까운 위치(10cm미만)에 발생한 직장암 환자들에서 병의 진행정도와 개인별 체질량(BMI)등 비슷한 양상을 가진 만 60세 전후의 환자 중 개복수술과 복강경수술 및 로봇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각각 165명을 비교분석했다.


연구진은 수술 후 회복과 수술의 질을 살펴볼 수 있는 수술시간, 출혈량, 수술 중 수혈 정도, 조직 제거 후 직장과 대장을 연결한 부위가 새는 합병증(문합부위 누출)발생 유무 , 소변장애, 수술 부위 감염, 통증 등 세부 평가 항목을 비교, 조사했다.

관련기사



그 결과 수술 환자의 회복속도를 보여주는 첫 가스배출 시간과 연식 식사 시작 일에 있어 개복수술에 비해 로봇수술과 복강경수술이 좀 더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원기간에 있어서도 로봇수술, 복강경수술, 개복수술 순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중 출혈과 수혈 여부에 있어 로봇수술과 복강경 수술이 개복수술에 비해 매우 적었고, 수술부위 감염에 있어서도 개복수술에 비해 두 수술법이 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 수술 후 소변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비율에 있어서도 로봇수술과 복강경 수술이 개복수술에 비해 낮았다.

개복수술 환자들은 로봇·복강경수술 환자에 비해 통증으로 인한 진통제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로봇수술 환자의 경우 복강경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 비해 수술 후 통증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러한 점은 수술 후 빠른 회복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교수는 “직장암에서 로봇수술이 수술 도구가 들어가기 힘든 좁은 골반에서 암을 제거하면서 주변의 민감한 배뇨 및 성기능 신경을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점이 항문에서 가까워 수술이 더욱 어려운 직장암 환자에서 잘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라고 말했다.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