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행복지수 높이는 연계·협력


발언대/박종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사업기획본부장



정부는 '주민 행복 체감' '균등한 기회 제공' '자율적 참여와 협업' '어느 곳에서나 보장받는 삶의 질'이라는 주요 가치를 내걸고 지역 정책을 실현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행정구역상의 시·군 경계를 허물고 주민 실생활 중심으로 56개 행복생활권을 설정했다. 이러한 지역행복생활권 정책이 제대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지역 사업을 수행하는 이들과 그 자원의 연계·협력이 필수적이다. 연계·협력을 통해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시너지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연계·협력의 형태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련기사



첫 번째로 '지역 간 연계·협력'을 들 수 있다. 영주시의 사과와 나주시의 배를 혼합상품으로 개발해 유통 채널을 확대한 '영호남 기쁨창조사업'이 대표적이다. 두 지자체는 사과와 배의 꽃말을 활용해 '희망을 연모해 화합을 이루고 서로 사과하면 기쁨은 배가 된다'는 스토리텔링을 덧입혔고 '홍동백서'라는 브랜드를 탄생시켰다. 두 번째는 '사업 간 연계·협력'이다. 대표 사례로 대구 남구의 '문화·예술 생각대로(大路) 사업'과 '대명 문화거리 사업'의 연계를 꼽을 수 있다. 보행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고 자전거도로를 구축했으며 청소년창작센터를 건립하는 등 사업 간 연결을 통해 지역발전사업 우수사례로 꼽히기도 했다.

세 번째는 '시설 간 연계·협력'으로 문화예술회관에 주민평생학습장을 복합화한 합천군의 '창조문화교류센터'가 대표적이다. 네 번째는 '주체 간 연계·협력'이다. 신안군의 '임자도 튤립공원 조성사업'은 축제를 갯벌·해수욕장 등과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런 사업들은 예산절감, 관광객 증가, 매출 증가, 운영 효율화 등의 성과는 물론이고 추진과정에서 주민들이 느끼는 만족감이 다른 사업에 비해 높다. 내년은 행복생활권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다. 현 정부가 추진하는 지역정책 슬로건처럼 '국민에게 행복을 주고 지역에 희망을 주기 위해'서는 지역의 연계·협력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