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치킨집 절반 3년도 못 버텨

10년간 매년 7400곳 생기지만 5000곳 퇴출<br>■ KB금융연구소 분석


'관두고 치킨집 해야지' 하다간… 오싹
치킨집 절반 3년도 못 버텨10년간 매년 7400곳 생기지만 5000곳 퇴출■ KB금융연구소 분석

이유미기자 yium@sed.co.kr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상관 없음












치킨집 창업자 가운데 절반은 3년을 버티지 못하고 폐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킨점 한 곳당 주변의 거주인구도 10년 새 절반이 줄어든 1,400여명에 불과해 많은 이익을 내기는 더욱 힘든 구조가 되고 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5일 발표한 '국내 치킨 비즈니스 현황 분석'에 따르면 국내 치킨 시장은 지난 10년간 3,300억원에서 3조1,000억원으로 9배가량 성장했다.

외형은 성장했지만 생존율은 저조했다. 실제로 치킨전문점의 10년 생존율은 20.5%에 불과했다. 특히 치킨전문점 창업자의 49.2%는 3년 이내에 폐업해 구조적 안정성은 취약했다. 이에 따라 지난 10년간 치킨전문점은 매년 7,400개가 창업을 하고 5,000개가 퇴출, 2011년 현재 3만6,000개가 영업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더욱이 10년 전에는 반경 1㎢ 내 치킨점 한 곳당 3,055명의 인구가 거주한 반면 현재는 절반 수준인 1,414명으로 줄었다. 실질수요 감소에 따른 경쟁강도는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치킨전문점 개인사업주의 연소득은 2011년 기준 2,500만원으로 창업 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900만원 이상의 소득이 감소했다. 예비창업자들이 구체적인 자금조달 계획과 손익분기점 계산이 창업 전에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이 때문이다.

관련기사



서울에서 가장 치킨전문점 수가 많은 지역은 송파구(375개)로 조사됐다. 서울 한 개 동에는 29개의 치킨전문점이 영업하고 있다.

경쟁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인구 1만명당 치킨전문점 수'를 서울시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중구(10.5개), 종로구(8.7개)에 많은 점포가 분포했다. 강북구(5.1개), 양천구(5.1개), 용산구(5.2개)는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했다. 강남구의 점포 수는 6.0개로 서울 평균 수준이었으나 치킨점 연간 매출액에서는 1위를 기록해 여전히 고객기반이 강한 지역으로 분석됐다.

유정완 KB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경쟁강도 심화로 국내 치킨 시장의 생존확률은 이미 낮은 수준이지만 '닭강정' '오븐에 구은 닭'과 같은 틈새시장을 노려 고객층을 확보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최근 추세를 감안한 독자적인 경쟁력 확보와 고유한 아이템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유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