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암 발생 비밀 풀었다

국내 연구진, 염색체 분열 조절 밝혀

암 발생에 연관이 깊은 염색체 분열의 조절 과정이 밝혀졌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이기원 식의약맞춤치료시스템창발센터 교수와 박석열 박사, 미국 암 연구소 이경상 박사팀이 염색체 분열 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센트로좀'에 관한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밝혀냈다고 22일 발표했다.

관련기사



센트로좀은 세포가 분열할 때 중심 역할을 하기에 '중심체'라고도 불린다. 중심체가 염색체 분열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면 세포의 유전적 안정성에 문제가 생기고, 결국 암이 발생하게 된다. 이번 연구는 중심체가 염색체 분열을 조절하는 자세한 과정을 밝힌 것이다.

중심체 복제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은 돌연변이 센트로좀 단백질이 폴로박스와 결합하지 못할 때 나타난다. 돌연변이 단백질인 Cep152는 주로 암세포에서 발견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포 내에서 폴로 박스가 센트로좀 단백질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입증한 세계 최초의 논문으로 최근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온라인판에 소개됐다. /윤종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