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전제제품값 잇단 상승

주요부품 공금부족따라 컴퓨터등 오름세 지속미국 시장에서 컴퓨터와 PDA 등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를 비롯 주요 전자제품 가격이 부품 가격 인상에 따라 최근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 시장조사기관인 NPD테크월드의 조사를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데스크탑 PC의 경우 평균 가격은 올해 초 대당 814달러에서 838달러로, 모니터 가격은 298달러에서 322달러로 각각 올랐다. 또 PDA 등 휴대형 정보통신 기기의 판매가격은 라이벌인 팜-핸드스프링간의 가격 인하 경쟁이 끝난 작년 11월 이후 약 25%나 급등, 평균 252달러 수준에 팔리고 있다. 업체별로 휴렛패커드는 지난 1월 '파빌리온520n' 데스크탑을 749달러에 판매했지만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대신에 하드용량을 줄인 '파빌리온540n'을 새로 출시하면서 가격을 100달러 올렸다. 컴팩컴퓨터는 전체적인 PC가격은 내렸지만 주요 부품을 싼 것으로 대체, 결과적으로 PC 가격을 인상한 경우. 컴팩은 '프리자리오5000' 모델을 '프리자리오4000'으로 대체하면서 가격을 699달러에서 695달러로 인하한 대신 하드드라이브 용량을 반으로 줄였다. 또 일부 PC 업체들은 필수 장치를 옵션화하는 식으로 우회적으로 가격을 올려 실제 가격 인상분은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훨씬 클 것이란 게 업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 같은 전자제품의 가격 인상 행진은 메모리칩과 LCD 모니터 등 주요 부품 생산 업체들의 공급 부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지난 9ㆍ11 테러 이후 컴퓨터와 다른 전자제품의 수요 감소로 반도체 업체들이 재고를 대폭 줄여온 결과 최근 수요 증가에 따른 공급량을 맞추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LCD 수급상황도 반도체와 비슷해 이 같은 가격 인상 행진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애플컴퓨터의 그레그 조스웩 하드웨어 판매담당은 이와 관련, "메모리 반도체와 모니터 부품 가격 인상으로 i맥 가격을 인상했다"며 "이러한 가격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창익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