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일,전직구직자 200만 넘어/총 208만명…전체 실업자의 92%

◎희망자 포함하면 취업자 12명중 1명꼴/채용규모 다시증가 낙관론 확산 여파직장을 그만 둔채 새 직장을 찾는 사람이 지난해 일본에서 사상 처음 2백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직구직자」로 표현되는 이들 실업군은 가뜩이나 실업률 상승에 부담을 안고있는 일본 정부에 새로운 골칫거리로 부각되고 있다고 최근 니혼게이자이(일본경제)신문이 전했다. 총무청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내 전직 구직자수는 2백8만명으로 전체 실업자(2백25만명)의 92%를 넘어섰다. 이는 지난 3년새 25만여명이나 늘어난 것이자 일본 국내 취업자수(6천4백88만명)의 3.2%에 이르는 규모다. 여기에 아직 직장을 그만두지는 않았지만 전직을 희망하고 있는 사람까지 포함하면 5백43만명에 이른다는게 총무청의 추산이다. 취업자 12명중 1명은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거나 옮기고 싶어한다는 얘기다. 총무청측은 전직구직자의 급증을 『기업의 인력채용 규모가 회복되는 등 고용환경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90년대초 버블붕괴와 함께 고용규모가 급속도로 축소됨에 따라 직장인들 역시 쉽사리 직장을 그만두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던게 최근들어 채용규모가 다시 늘어날 것이라는 낙관론이 확산되면서 과감하게 직장을 버리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들의 생각만큼 기업체의 채용인원이 증가하고 있지 않다는데 있다. 금세 회복될 것같던 경기가 내리막길로만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경력사원을 채용하는 기업들도 대부분 정보통신과 서비스 업종에 집중돼 있어 이 분야에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은 그대로 실업자로 눌러 앉을 수 밖에 없다. 정보처리업체 CSK의 경우 지난해 2백명의 경력사원 고용 계획을 세웠으나 54명을 채용하는데 그쳤다. 사정이 이러니 실업률은 자꾸 올라갈 수 밖에 없다. 90년대초 2%대에 머물던 실업률은 경기불황으로 대졸자의 신규채용이 줄어들면서 지난 95년 처음 3%대에 올라섰다. 지난해엔 실업률이 3.4%의 최악상황에 몰리고 말았다. 일부 민간기관에서는 전직구직자의 고용이 자꾸 늦춰질 경우 실업률이 10%대까지 올라설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에따라 일본정부도 최근들어 비상대책을 수립하고 있기는 하다. 노동성이 「고용촉진사업단」법을 마련, 실직자의 개인능력 개발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고 새로운 직장을 찾도록 해주는게 좋은 예다. 일부에서는 실직자들을 새로운 산업에 과감히 투입, 국가 전체 산업구조 전환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김영기>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